7개 지방大 정원 첫 자율화-내년 입시부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교육부는 21일 57개 지방 사립대(분교 포함)의 교육여건을평가한 결과 포항공대.대전가톨릭대.한국기술교대.부산가톨릭대.광주가톨릭대.인제대.한림대 등 7개 대학을 97학년도 신입생 정원 자율화 대학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대학 정원책정 자율화는 정부가 대학정원을 관리해온 61년 이후 36년만에 처음이다.
이들 대학의 최대 증원가능 인원은 현재 교수 수를 기준으로 ▶포항공대 1천81명 ▶부산가톨릭대 66명 ▶한국기술교대 2백3명 ▶대전가톨릭대 29명 ▶광주가톨릭대 17명이다.
또 인제대.한림대는 올해 자율화 기준은 통과했으나 98학년도증원을 위해서는 교수와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의대.치대.약학등 의료관련 학과와 사범계열 학과의 정원은 이번 자율화 대상에서 제외돼 정부의 인력수급 정책에 따라 정해진다. 교육부는 교수 1인당 학생수,교사(校舍)확보율,학생 1인당 실험실습비.도서 구입비.교육비,전입금 비율등 6개 지표를 평가해 ▶교수 1인당 학생수(법정기준 22.3명)가 31.9명이하이고 ▶교사 확보율이 법정기준의 70% 이상 ▶ 종합점수가대학 평균(5백98.8점)이상 등 세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킨대학을 정원 자율화 대학으로 선정했다.
교육부는 앞으로 이 기준을 연차적으로 강화,2000년부터는 교수 1인당 학생수와 교사 확보율이 법정기준을 넘는 대학에 대해서만 자율화한다고 밝혔다.
정원이 자율화된 포항공대등 대부분 대학은 정원을 늘리기보다 내실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실제 증원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증원이 규제되는 수도권의 55개 대학과 22개 지방 국립대,이번 평가에서 탈락한 50개 지방 사립대의 정원은 교육부가 6월중 대학별 증원신청을 받아 평가한뒤 오는 8월 계열별 총인원만 정해주는 포괄승인 제로 결정된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