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세탁 기업 더있다-安중수부장,빠르면 오늘부터 기업인소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 부정축재사건을 수사중인 대검중수부(安剛民검사장)는 2일 盧씨 소환조사가 盧씨의 답변회피로 실효를 거두지 못함에 따라 자금을 제공한 기업인 수사및 계좌추적에 수사력을 집중키로 했다.
검찰은 기업조사와 계좌추적을 통해 자금조성 경위및 수뢰증거를밝혀낸 뒤 다음달초 盧씨를 재소환,사법처리한다는 방침이다.
安부장은 『盧씨 비자금의 실명전환과정에서 한보그룹외에 몇개 기업이 더 있는 것으로 수사결과 확인돼 조사가 불가피하다』면서『그러나 현재 진행중인 계좌추적에 시간이 걸려 이달중 盧씨를 재소환하는 일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盧씨수사는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검찰은 빠르면 3일부터 기업인 소환조사에 들어갈 계획이다.조사대상엔 盧씨에게 100여억원의 비자금을 제공하고 최소한 369억원을 돈세탁해준 혐의를 받고 있는 한보그룹 정태수(鄭泰守)회장과 자금담당자가 1차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어 盧씨의 비자금 세탁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D그룹과 H기업등 10여개 기업 관계자들을 우선 소환,자금제공과 돈세탁 경위등을 조사키로 했다.
검찰은 관련 업체중 매출규모 50위권에 포함된 기업들에 대해이달중 1차조사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이와함께 지난달 말 盧씨가 제출한 비자금 통장 11개의 계좌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3일중 발부받아 입금된 자금의성격과 출처를 밝히는 작업을 병행키로 했다.
安부장은 『盧씨가 자금조성경위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회피해이번주부터 기업체 관련자들을 직접 소환,조사키로 했다』며 『그러나 기업의 대외적인 신용과 명예등을 감안해 그 내용을 모두 공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검찰은 지난달 전경련등 경제단체들로부터 140여개기업들의 통치자금제공 방법.액수등 기본적인 자료를 받았으며 국세청에 의뢰,盧씨 친인척 명의의 재산세 납부자료를 확보한 상태다. 검찰은 이날 盧씨에 대한 조사에서 비자금조성에 예상과 달리 깊숙이 개입한 혐의가 나타난 이현우(李賢雨)전 청와대경호실장을 소환,기업인과의 만남을 적극 주선했는지의 여부등을 철야 조사했다.
李씨는 H.D.K등 10여개 대기업 회장들과 盧씨와의 단독면담을 주선한 사실을 일부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