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탐구>신고전주의-불룩한 기둥.조각장식 특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신고전주의는 18세기 중엽 폼페이발굴 등 고고학적인 연구에 의해 그 유행이 더 가속화된 양식이다.
신고전주의는 가구.건축디자인에서부터 보석.도자기에 이르기까지다양한 분야,또 프랑스에서 영국.러시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 쳤다.
서구의 고전이란 그리스.로마시대를 일컫는 것으로 18세기 중엽 영국.프랑스 등지에서는 세속적이고 단명한 예술에 대한 반발로 영속적이고 진실하다고 느껴지는 고전에 다시 눈을 돌리게 되면서 시작된 양식이다.
신고전주의양식은 직선과 사각형에 기초를 두고 세로로 홈이 파인 그리스.로마의 기둥장식이나 조각들을 응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스.로마의 기둥이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었는데 비해 신고전주의에서는 건물 외벽이나 실내에 장식적 인 용도로 기둥이나 조각을 응용하고 있다.
덕수궁의 석조전이나 서울역건물도 신고전주의양식의 건물이며 미국 워싱턴 DC의 링컨기념관은 그리스 신전을 모방한 신고전주의양식의 전형적인 예다.신고전주의양식은 초기의 그리스.로마건축 모방뿐 아니라 후기로 오면서 고딕스타일 재생등 지 나간 시대의양식을 재현하는 형태로 다양해졌다.
실내장식에서는 비례와 균형을 중시하며,가구도 다리가 직선의 형태가 되고 다리 밑부분이 가늘어지는 형태를 띤다.18세기에 활동한 영국의 로버트 아담은 실내장식이나 가구디자인에 고전을 응용해 신고전주의양식으로 정착시킨 대표적인 인물이 며,이러한 가구나 실내장식은 영국에서 미국으로 건너가 20세기 초까지 1백년이상 지속됐다.
〈申璟 本社전문기자.工博〉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