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은 계급혁명 충격-이적성 대학교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북한으로부터 장학금을 받은 유학생이 교수가 된 사례가 있다』는 朴弘총장의 발언과 일부 대학교재의 이적성여부에 대한 당국의 수사착수를 계기로 대학사회의 좌경이념 오염에 대한 척결작업이 궤도에 오를 조짐이다.
공안당국 관계자는『그동안 군사정부가 자신들에 비판적인 글을 쓴 대학교수나 출판물등을 탄압해왔기 때문에 문민정부 들어 출판물에 대한 수사 자체를 꺼려온 것이 사실이나 이 글들이 단순히정부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체제 자체를 전복하 도록 선전.선동하는 내용들로 가득 차있고 그같은 내용이 교수들에 의해 공공연히 수업된다는 것을 더이상 방치할 수 없어 수사를 시작했다』고 밝히고 있다.
문제가 된『한국사회의 이해』라는 책자는 K대 J교수등 소장학자 9명의 논문 11편을 수록해 교양선택강좌로 개설돼 올 1학기에 2개반 4백70명이 수강했으며,2학기에도 강의신청을 받고있는 중이다.
검찰에 따르면 총 11편중 문제가 되는 부분은 8개 논문으로1장「한국사회의 이해」에서는『동구사회주의의 몰락은 마르크스주의의 실패가 아니며 김영삼정권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주의로 무장돼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또 2장「한국근대민족운동의 전개」는『좌익은 독립운동을 했고 우익은 친일파였다』,3장「분단국가의 형성과 한국전쟁」은『친일세력은 미국에 추종해 해방후 분단을 고착화시켰고 좌익은 분단해결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6.25는 도발이 아니라 남한 민중을 해방시키기 위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 4~8장도『한국경제는 미국경제의 종속성을 벗어나지 못하고매판자본만 살아남는다』『미제국주의자들의 반공이데올로기를 타파해야 민족국가와 통일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며 책 전체의 결론을『마르크스주의에 입각한 계급혁명이 필요하다』 는 방향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이 책 각장의 마지막에는「토론해 봅시다」라는 항목을 두고▲중.고등학교 사회과목에서 배운 지식들중 부르주아 이데올로기가어떤 식으로 나타나 있는지▲한국근대민족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민중적운동(좌익운동을 지칭)이 어떤 위치를 ■지해 왔으며 부르주아민족운동의 속성이 무엇인지▲한국전쟁직후 한국사에서 미국이 담당한 역할▲한국경제는 개혁을 거쳐 선진자본주의로 진입할수 있는지▲한국사회의 계급구조에서 바람직한 변화는 무엇인지▲김영삼정부의국가경쟁력강화정책의 계급적 의미 등을 토론하도록 유도해 이 책을 읽고 제시된 내용대로 토론을 거치다보면 자연스레『한국사회는모순에 가득 차있으며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지배계급을 타파해야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도록 교묘히 구성돼 있다는게 검찰 분석이다. 공안당국은『70년대말~80년대초의 격동기에 대학을 다니며 당시 사회분위기에 의해 좌경화됐던 지식인들이 학교로 돌아와다시 그같은 이념을 전파시키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동구권이 몰락하고 공산주의의 실패가 자명해진 이후에도 진보를 자처하며 젊은학생들을 잘못된 사상으로 이끌어 가고 북한을 이롭게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문민정부이기 때문에 더욱더 척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金相軫.表載容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