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폭동」·「4·3사건」 개정 않기로/교육부/국사교과서 개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항쟁 용어사용 논란많아 수용할수 없어”
교육부는 중·고교 국사교과서의 현대사 용어 개칭(중앙일보 18일자 22면 보도)과 관련,「대구 폭동사건」 및 「제주도 4·3사건」에 대해 「항쟁」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는 21일 6차 교과서 개편을 앞두고 최근 「국사교육 내용전개 준거안 연구위원회」(위원장 이존희 서울시립대 교수)가 마련한 개편시안중 이들 두 사건의 개칭안은 수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관련기사 5면>
위원회는 18일 서울시립대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새 고교교과서(96년 적용)에 현재의 「대구 폭동사건」을 「10월 항쟁」으로 표기,간략히 언급하자는 부분을 시안에 포함시켜 발표했었다. 또 「4·3사건」에 대해서도 「제주 4·3항쟁」으로 개칭하고 사건의 배경을 이해하도록 하자는 안을 내놓아 학계의 논란을 빚어왔다.
교육부 한명희 편수관리관은 『교과서 용어는 국민정서에 적합하고 학계에서 정설화된 내용만을 수용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며 『논란의 소지가 드러난 이상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들 사건에 대한 표기나 기술은 6월중 확정될 교육부의 최종안에서 현행 교과서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한편 『「여수·순천 반란사건」의 경우 주둔군대 내에서의 반란이 마치 주민들에 의한 것으로 오해돼 잦은 민원이 제기됐었다』며 시안대로 「여순 사건」으로 표기할 것을 긍정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7차 교과서 개편(2000년대 초)때부터 2종(민간 출판) 교과서로 전환키로 한 국사과목을 이같은 역사관의 불일치 등 예상되는 혼란을 막기 위해 현행대로 국정교과서로 존속시키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김석현기자>
◎“교과서개편 신중히”/김 대통령 지시
김영삼대통령은 20일 김숙희 교육부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국사교과서는 좀더 신중하게 여론을 수렴해 개정방침을 정하도록 하라』며 『국사교과서의 개정은 역사를 왜곡하는 방향으로 개정돼서는 절대 안된다』고 지시했다고 주돈식 청와대 대변인이 21일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대구폭동,제주 4·3사건,여순반란사건 등을 모두 치우친 사관에 의거해 「항쟁」 등으로 표현하려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김현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