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 집집마다 “따르릉 공해”/『전화부대』안방침투 극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여론기관 사칭 “누구 찍겠느냐”/온갖 화술동원 지지 호소/사전운동 적발 어려워… 단기전화 가입신청 급증
유권자들이 전화공해에서 시달리고 있다.
선거일이 공고되기도 전에 여야 정당들의 선거전이 과열·혼탁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총선에 나설 출마예정자들의 전화를 이용한 사전선거운동이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는 것이다.
많은 출마 예정자들은 20대 초반의 젊은 여성들을 대거 고용하거나 안면이 넓은 친인척·동문회간부 등을 동원해 이른바 「전화부대」를 만들어 여론조사기관을 사칭,유권자들에게 『당선예상자는 누구를 꼽을 수 있느냐』『이번 총선에서는 어느 당을 지지하겠느냐』는등 우회적인 질문으로 특정후보 지지를 유도 또는 호소하고 있다.
사전선거운동으로 적발되지 않는 이점때문에 이와 같은 전화부대 동원을 위한 출마예정자들의 단기전화가입(1개월용)신청이 급증하고 있으며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전화를 통한 선거운동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전화를 이용한 사전선거운동은 서울뿐만 아니라 경남·경북·대구·부산·대전·충청등 전국적으로 이달 중순부터 기승을 부리고 있으며 여야 경합이 치열한 지역일수록 심하다.
이때문에 여야 경합지구로 알려진 경북 구미·점촌·문경지방의 경우 가정마다 여론조사기관을 사칭한 전화가 폭주,주민들이 통화장애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실정이다.
출마예정자들의 전화부대동원으로 지역마다 단기가입전화 신청건수가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해 출마예정자별로 많게는 16대,적게는 4∼5대에 평균 10여대씩 신청이 쇄도하고 있다.
부산의 경우 이달들어 단기가입전화 신청 건수는 5백32대로 이중 80%인 4백26대가 선거용으로 밝혀졌고 경남 창원·마산지구는 74대중 97%인 72대가 선거용임이 드러났다. 그러나 가족등 다른 사람이름으로 신청한 실제 선거용 단기전화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창원전화국의 경우 현역 의원인 H씨가 9대를 신청했고 C씨가 8대를 사용중이며 마산전화국 관내는 B씨가 12대,K씨가 12대,Y씨가 4대를 신청했다.
강원도는 원주시의 경우 지난 14일 A씨가 한꺼번에 10대의 단기전화를 신청했고 춘천에서도 K씨가 지난 10일 6대를 신청했으며 강릉에서는 17,18일 C·K씨가 각각 5대·10대의 단기전화를 신청해 사용중이다.
광주에서는 민자당 L씨가 16대의 단기전화를 신청,동별로 2∼3대씩 전화를 배치해 쓰고 있으며 대전에서도 민주당 출마 예정자 C씨 사무실의 경우 10대의 단기전화를 신청했다.
각지역 통신공사측은 『선거일이 공고되고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하면 단기전화신청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