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대 정부 발언권 세질 듯|현승종 회장의 교총은 어디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한국교총이 교육자치제 본격 실시를 앞두고 교권회복·위상강화를 겨냥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5일 윤형섭 전 회장의 교육부 장관 입각으로 공석이 된 회장직에 현승종 한림대 총장을 선출한데 이어 26일에는 전국 교육자대회를 개최, 교육 우 선의 국책실현을 촉구하는 등 역량 강화와 함께 전국 24만 회원을 거느린 매머드 단체로서의 세를 과시하고 나섰다.
특히 현 총장의 회장 옹립은 교총의 소리에 중량 감을 더한 것으로 대 정부 교섭에 교두보를 마련한 셈이다.
현 회장은 당초『추대형식이 아닌 경 선이라면 출마하지 않겠다』고 버텼으나 정원식 전 문교부장관·박영식 연세대총장 겸 대학교육 협의회장 등 교육계 중진들의 설득에 따라 후보로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 자치제를 앞두고 각종 입법활동 및 교권확립과 교총의 위상정립을 위해서는 대 정부 발언권이 있는 원로가 필요하다는 교육계 내부의 여론이 그 배경이었다.
현재 교육계의 최대 관심사는 국회에 계류중인 교원지위법의 조속 통과와 각종 교원지위향상을 위한 입법 및 교육 자치제 속 자율성 확보라 할 수 있다.
오는 7월의 교육 위원회 구성은 교육부와의 한판「힘 겨루기」가 불가피한 상황이며 현 회장의 45년에 걸친 교직경력·지명도·경륜은 큰「무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 회장도 이에 부응하듯『대통령도, 장관도, 기업인도 교육 없이는 될 수 없다』며『폭넓은 친분관계를 통해 교육계의 의사를 최대한 관철시키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이보다 먼저 풀어야 할 교총의 당면과제는 실추된 교권회복이다.
학생이 교수를 폭행하고 총장의 얼굴사진을 짓밟는 현실에서는 교육의 존립근거마저 위태로운 지경이라는 것이 다수 일선 교육자들의 인식이라고 하겠다.
현 회장은『교육 바로 세우기 운동을 범 국민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교총의 이같은 체질개선 움직임에는 물론 걸림돌도 적지 않다.
87년 이후 전교조 운동과 교총 탈퇴러시·어용시비 등에 따른 상처는 아직 아물지 않은 상태.
현 회장은 이를 의식,『교단을 떠난 전교조 관련교사의 복직에 최대한 노력하겠으며 전교조의 주장도 과감히 수용하겠다』고 밝혔고 열악한 교원처우를 의식해『교육이 그동안 받지 못한 정당한 몫을 찾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이를 보는 전교조, 특히 젊은 층 교사들은 냉담한 눈길이다.
교육부로부터 예산지원과 감사를 받는 현실에서 얼마나 자율성과 자주성을 확보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이다.
보수적인 교단 풍토에서 개혁의 폭이 얼마나 크겠느냐는 회의적인 반응과 함께『결국 정부측과「누이 좋고 매부 좋은 식」의 적당한 타협만이 가능할 것』이란 예측이다.
어용시비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도, 또 유일무이한 교원대표 단체로서의 입장 강화를 위해서도 현 회장체제의 교총은 일단 정부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박종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