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까지 어떻게 왔지?…닥치는대로 먹어치우는 '집쥐' 습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2021년 독도에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집쥐. 사진 대구지방환경청

지난 2021년 독도에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집쥐. 사진 대구지방환경청

독도에서 급증한 집쥐가 바다제비와 벼과 식물류를 먹어 치우는 등 생태계를 교란해 당국이 관리 방안 마련에 나선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내년 5월까지 연구용역을 통해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파악하고 퇴치·관리 방안과 추가 유입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독도 집쥐 문제는 인지하고 있었으나, 독도에 접근하기 어렵고 사업수행기관을 선정하는 문제 등 때문에 (관리)사업 추진이 잘 안되다가 최근 관계기관이 의지를 모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제1호 특정도서이자 천연보호구역인 독도에 집쥐가 유입됐다는 사실은 2010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때 서도의 몰골 근처 자갈밭에서 사체가 발견되면서 처음 공식적으로 확인됐다. 동도에서는 2015년부터 집쥐가 확인되고 있다.

독도 내 집쥐 수는 2021년 100~150마리로 추산됐다. 지난해 3차례 현장조사에 따르면 1차 때 동도에선 독도경비대 태양광 발전시설·헬기장·영해기점표기석 등 7개 지점에서 집쥐 배설물이, 태양광 발전시설과 등대 주변에서 집쥐가 판 굴이 발견됐다. 서도에선 5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어민 숙소 뒤편에서 굴이 나왔다.

2차 조사에서는 총 8개 지점에서 집쥐의 흔적이 발견됐고, 굴은 2곳이 확인됐다. 3차 때는 서도는 조사하지 못한 가운데 동도에서만 6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2곳에서 굴이 관찰됐다.

독도 내 집쥐가 가장 많이 산다고 추정되는 곳은 서도 주민 숙소다. 지난해 5~10월 독도에 설치돼 운영된 5대 무인센서카메라 영상 2만9410장을 분석한 결과 집쥐는 총 716회 포착됐다.

서도 주민 숙소 쪽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가장 많은 359회(50.14%) 나타났고, 이어 동도 헬기장(126회), 등대 덱(96회), 서도 상부(88회), 동도 망향대(47회) 순이었다.

집쥐가 육지(경북 울진군)에서 200여㎞나 떨어진 외딴섬에 들어온 경위도 확실하게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사람과 짐을 싣고 독도로 들어온 선박을 함께 타고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쥐는 헤엄을 잘 쳐 배가 섬에 정박하지 않고 섬 가까이만 접근해도 도달할 수 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이번에 독도 내 집쥐 '박멸'보다는 '적절한 관리'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시력은 약하지만 후각·미각·청각·촉각이 매우 발달해있는 데다 암수 한 쌍이 1년에 새끼를 460마리까지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강해 쥐를 아예 없애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