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산업기술인력 1.4% 증가…인력수요 많은 탓에 부족인원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연합뉴스

연합뉴스

지난해 산업기술인력 규모가 전년보다 증가했지만, 주력 산업의 인력 수요가 많아 부족한 인원수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9일 발표한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에 따르면 근로자 10인 이상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 생산, 정보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산업기술인력은 168만142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1.4% 증가한 수준이다. 산업기술인력은 증가세를 유지하다 2020년에 0.9% 감소한 뒤 지난해 다시 증가로 돌아섰다.

부족 인원 역시 3만7667명으로 전년보다 3.3% 늘었다. 부족 인원은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 시설 가동을 위해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을 말한다.

부족률은 2.2%로 5년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계,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은 111만5526명으로 1.5% 증가했다.

부족 인원은 2만8709명으로 전년보다 2.3% 늘었다. 부족률은 2.5%로 4년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산업부는 코로나 확산이 진정돼 산업기술인력 증가세가 회복된 것과 동시에 12대 주력산업의 인력 수요도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바이오·헬스와 소프트웨어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했지만 인력 부족률이 각각 3.4%와 4.0%에 달해 다른 주력산업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채용된 산업기술인력은 14만2840명으로 8.4% 증가했다.

구인 인력은 4.1% 늘어난 15만678명으로, 채용·구인 인원 모두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증가 폭은 통계 집계 이래 최대였다.

채용 인력 중에는 경력자의 비중이 상승하면서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