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감소 예상보다 더뎌, 7일 격리의무 해제 늦춰질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12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만 명대를 기록하며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하락세가 더디다. 윤석열 정부는 다음 주 코로나19 확진자의 7일 격리 의무 해제 시기를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당분간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방역 당국 내부에서도 격리 의무 해제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8019명 줄어든 3만5906명을 기록했다. 목요일 발표된 확진자 수로는 지난 2월 3일(2만2905명) 이후 14주 만에 가장 적다.

하지만 유행 감소 폭은 전문가들의 예측치보다 더딘 수준이다. 앞서 지난 5일 코로나19 수리모델링 태스크포스(TF)가 유행 전망을 모은 리포트에 따르면, 가장 긍정적인 전망은 이번 주 신규 확진자 수가 1만 명 이하가 될 것이란 분석이었다. 하지만 최근 1주간 확진자 수는 3만6647명으로 직전 주(4월 29일~5월 5일) 4만1994명보다 5300여 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다른 전망치에서 언급한 3만700명 혹은 2만5742명(4~10일)보다도 높다.

방역 전문가들은 정부가 다음 주 논의하겠다고 밝힌 7일 격리 의무 해제 시점에 대해서도 당장은 이르다는 입장을 보였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여전히 5만 명 정도의 확진자가 계속 나오는데 거기서 격리를 푼다는 건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엄 교수는 특히 유행 상황이 변할 수 있는 요인으로 바이러스 전파력과 면역력 변화, 이동량 세 가지를 꼽았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도 “이번 주부터 사실상 신규 확진자 수가 평형 상태에 놓여 있는데 만약 격리 의무 해제 같은 추가적인 조치가 있으면 균형을 깨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