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전으로 번진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한·일 TF 맞대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가 한·일 외교전으로 비화했다. 일본은 등재 실현을 목표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렸고, 한국은 이를 저지하기 위한 TF팀을 구성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 1일 프랑스 파리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사도광산과 관련한 추천서와 관련 자료를 제출한 후 등재 실현을 위한 첫 TF 회의를 열었다.

앞서 한국 외교부는 지난달 28일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공식화하자 관계기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TF를 출범시켰다. 정부는 강제노역 역사를 외면한 채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세계유산의 근본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제사회 공감을 얻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사도광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선 두 단계의 관문을 거쳐야 한다. 첫째가 유네스코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 서류심사 및 현장 실사다. 두 번째 관문은 21개국으로 구성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의 채택이다. 등재는 세계유산위 전원일치로 결정되는 것이 관례지만, 3분의 2인 14개국의 찬성만 받아도 통과될 수 있다. 내년 여름 열리는 등재 표결에서 전원일치 등재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3분의 2 찬성을 통한 등재를 노린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