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학원들 "뾰족한 수가 없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학입시 전문가인 학원 관계자들조차도 2008년 대입 전형계획에 대해서는 뾰족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전문가가 "열심히 하는 수밖에 없다"는 정도의 얘기만 하고 있을 뿐이다. 목표 대학에 맞춰 학습을 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한다. 하지만 학생들의 부담이 많이 줄어들지는 않을 전망이다.

◆ "묘책 없다"=학원 관계자들도 내신.수능.논술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한다. 따라서 대안도 원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영덕 대성학원 평가이사는 "수능.학생부.논술 등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게 없지만 핵심은 교과 공부"라며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인문계나 자연계 모두 치러야 하는 논술에서도 교과목별 지식을 바탕으로 한 통합교과적 내용이 출제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유웨이중앙교육 이만기 평가이사는 "세 가지를 다 잘해야 하기 때문에 뾰족한 대안이 없다"며 "다만 목표를 정해 집중적으로 하면 학습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이사는 "학교에서는 목표 대학을 정해 분반 수업을 하고 학원도 오전에는 수능, 오후에는 목표 대학별로 수업하면 그나마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목표 학교 따라 전략 달라져=대학별 고사가 중요하지만 이는 상위권 일부 대학에 갈 수 있는 학생들에게 국한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에 대입 계획을 발표한 대학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논술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학생을 뽑는다.

상위권 학생은 논술 등 대학별 고사에 대비해야 한다. 서울의 한 대학 입학처장은 "학생부 실질 반영 비율에 관해 대학들끼리 조율을 하고 있지만 10~20% 정도가 될 것"이라며 "학생부 성적이 엇비슷한 학생들이 지원한다는 점에서 논술의 영향력이 다소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학생부의 전 과목 성적이 다 좋아야 유리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길은 있다. 서울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대학이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등 주요 교과 중심으로 학생부 성적을 반영할 계획이다.

고교 2학년 이하 학생은 원하는 대학 전공과 일치하는 과목에 특별히 신경을 써서 성적을 관리해야 한다. 서울대를 비롯한 대부분 대학이 아직 학생부 반영 방법을 정하지 못했다. 일부 대학은 학생부 원점수와 평균을 이용해 표준점수를 산출한 뒤 반영할 계획도 밝히고 있다. 청솔학원 오종운 평가실장은 "같은 등급이라도 원점수를 높게 받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다양해진 입시 트랙 활용=수시모집에서 학생부 성적이나 논술 등 특정 요소만으로 학생 일부를 뽑는 대학이 여럿 있다. 이화여대의 수시 2학기 고교성적 우수자 전형에서는 학생부의 교과와 비교과 성적을 80~100% 반영한다. 서강대의 수시 2학기 학교생활우수자전형도 1단계에서 학생부 성적만 본다. 이에 따라 논술이나 학생부 성적, 수상 기록 등 서류 성적 중 어느 하나가 특출나게 좋은 수험생은 수시 2학기 모집에 지원하는 게 유리하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