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박자 내던 정통부·방송위 공동추진 합의…IPTV 연내 시범 방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국내 처음으로 통신과 방송의 대표적인 융합서비스인 '인터넷 TV(IPTV)'가 범 정부 차원의 공동사업으로 추진된다.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는 16일 서울 세종로 정통부 청사에서 '통방고위정책협의회'를 열어 연내 IPTV 시범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노준형 정통부 장관과 이상희 방송위원장 등 양 기관의 최고위 정책 입안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합의로 그동안 법.제도 미비와 관련 업계 간 갈등으로 추진력을 얻지 못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가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정통부의 박노익 방송통신융합전략팀장은 "연내 IPTV 서비스를 위해 이르면 다음달 통신업체와 방송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구성되고, 11월에는 범 부처 공동 시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범 사업에는 정부 예산 12억원(정통부 6억원, 방송위 6억원)이 들어간다. 두 기관은 또 연내 '디지털방송활성화위원회'를 발족하고 '디지털방송 활성화 특별법(안)'을 제정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정통부 고위 인사는 "정통부와 방송위는 앞으로 IPTV 같은 통방 융합 서비스를 형식적인 명분에 치우치지 않고 대국민 서비스와 국가 프로젝트 차원에서 다루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가령 '통방'이냐'방통'이냐 하는 이름 싸움부터 '방통'으로 하고, 정통부 장관과 방송위원장 간 핫라인을 가동해 수시로 이견과 오해를 풀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IPTV 등 통방융합서비스는 더 이상 늦추지 말고 일단 추진하고, 후속 문제점은 그때 그때 해결하자는 취지"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국내 통신업체들이 2003년 말부터 IPTV 사업을 추진했으나 관련 부처 간 이견 등으로 서비스에 나서지 못했다. 반면 우리보다 초고속 인터넷 기반이 뒤졌던 미국 등 선진국에선 IPTV 서비스가 차세대 주력 사업으로 활성화됐다.

이 때문에 KT.하나로텔레콤 등 통신업계는 이날 두 기관의 합의에 환영하는 분위기다. KT의 이영희 미디어본부장은 "3년간 엄청난 투자를 해 IPTV 사업을 준비해 왔으나 법.제도의 미비와 부처 간 갈등으로 제대로 서비스를 하지 못했다"며 "두 기관의 합의는 통방 융합 서비스에 물꼬를 튼 셈"이라고 평했다.

이원호 기자

IPTV(Internet Protocol TV)=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해 지상파 TV 등 디지털 영상 콘텐트를 실시간으로 보는 통방 융합 서비스. 인터넷 기반이라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영상 콘텐트를 볼 수 있고, 온라인 쇼핑 등 양 방향 데이터서비스도 가능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