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보복은 집요했다…나이키·아디다스도 앱스토어서 사라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에서 나이키 등 신장 위구르 지역의 인권 문제를 거론하는 서구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27일 중국 베이징의 나이키 매장 앞의 모습. EPA= 연합뉴스

중국에서 나이키 등 신장 위구르 지역의 인권 문제를 거론하는 서구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27일 중국 베이징의 나이키 매장 앞의 모습. EPA= 연합뉴스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의 인권 문제를 거론하는 기업을 표적으로 삼는 중국의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유명 패션 브랜드 H&M에 이어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와 아디다스가 29일 화웨이(華爲), 샤오미(小米), 오포(OPPO) 등 중국 휴대폰 앱스토어에서 사라졌다.

나이키와 아디다스가 신장 면화 불매 선언을 한 게 알려지면서 중국 소비자의 불매 운동을 불러일으켰다는 분석이다.

나이키나 아디다스로 검색하면 ‘서비스 조정으로 잠시 다운로드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만 나온다.

H&M의 경우 바이두디투(百度地圖) 등 중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지도 앱에서도 매장의 자취를 찾을 수 없다. 나이키와 아디다스는 지도 앱에선 검색이 가능한 상태다.

불매운동의 주요 표적이 된 H&M은 지도 앱뿐만 아니라 타오바오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사라졌다. 택시 호출 앱 디디추싱에서는 H&M 매장을 목적지로 검색할 수 없다.

베이징에 있는 아디다스 매장. EPA=연합뉴스

베이징에 있는 아디다스 매장. EPA=연합뉴스

아디다스와 휴고 보스도 중국인들의 불매 운동 대상이 되고 있다. EPA=연합뉴스

아디다스와 휴고 보스도 중국인들의 불매 운동 대상이 되고 있다. EPA=연합뉴스

중국 내에서 반발이 커지자 H&M, 나이키, 아디다스 등과 계약을 맺은 연예인도 잇달아 계약 파기 선언을 하고 있다. 나이키의 후원을 받는 프로축구팀 상하이 선화의 선수들은 나이키 로고가 사라진 유니폼을 입고 훈련을 하고 있다.

휴고 보스는 중국에서 볼 수 있는 페이지와 외부에서 보는 공식 페이지에 신장 지역 면화 사용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게시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정치적 논쟁을 멀리하는 게 다국적 기업의 공통점인데, 서구의 일부 의류 회사가 신장 제재에 참여함으로써 금기를 깼다”며 “중국 네티즌은 이 회사들의 잘못을 폭로하고 시장을 통해 대가를 치르게 할 권리가 있다”고 전했다.

이해준 기자 lee.ha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