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렌즈 삽입술

중앙일보

입력

라식수술이 어려운 고도근시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수술로서 투명수정체 적출술과는 달리 수정체를 제거하지 않고 눈 안에 특수렌즈를 삽입하여 시력을 교정합니다.

◇ 근거리 업무에 장애가 없는 것이 장점이나 정확한 교정은 어려워

따라서 수정체에 의한 조절력이 유지되므로 근거리 업무에 아무런 장애가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라식수술과 같은 정확한 교정이 어렵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안내렌즈를 삽입한 후 라식수술로 다시 조정해주는 복합수술을 하고 있습니다.

◇ 안내렌즈의 종류와 장, 단점들

현재까지 개발된 안내렌즈로는 수정체와 홍채사이에 삽입하는 스타 렌즈, 홍체의 앞부분인 전방에 삽입하는 누비타 렌즈와 가장 최근에 개발된 홍채사이에 클립같이 끼우는 Artisan 렌즈가 있습니다.

스타렌즈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약 7년쯤 전으로 현재 알려진 부작용으로는 렌즈와 수정체가 접촉하면서 백내장이나 색소성 녹내장이 유발된다는 것입니다.

누비타 렌즈의 경우는 스타렌즈 이후에 개발된 렌즈로서 4~5년 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렌즈의 다리에 의해 홍채가손상을 받으면서 동공이 찌그러지는 단점이 생길 뿐 아니라 심한 경우는 홍채에 구멍이 생기기도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최근에 개발된 Artisan 렌즈는 앞의 두 모델에 비해 합병증이 적으며 원시의 경우도 교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은 5~6mm정도의 큰 절개창을 만들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고가, FDA의 공인이 나지 않은 상태

이러한 안내렌즈는 아직까지는 너무 고가이며 그 안정성면에서 FDA의 공인이 나지 않은 상태이므로 계속 그 경과를 지켜보아야겠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