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3년...전세 4억이하 서울아파트 반토막, 6억 초과는 증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송파구 부동산 밀집 지역에 매매, 전세 및 월세 매물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 뉴시스

서울 송파구 부동산 밀집 지역에 매매, 전세 및 월세 매물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 뉴시스

서울에서 전세보증금이 4억원 이하인 아파트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50%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감정원 시세 기준으로 전셋값이 4억원 이하인 서울아파트는 문재인 정권 출범 당시(2017년 5월) 59.0%였으나 지난 8월 46.0%로 떨어졌다.

지난해 12월(51.1%)까지 50%대를 유지했으나 올해 1월(49.8%)에 처음으로 50% 밑으로 내려갔고, 이후에도 꾸준히 하락해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한 새 임대차법 시행 직후인 8월에 최저치에 이르렀다.

25개 구 가운데 감소폭이 가장 큰 곳은 종로구로 52.5%에서 23.2%로 29.3%포인트 급락했다.

종로구 숭인동 종로청계힐스테이트 전용면적 59㎡는 전세 거래는 2017년에 4억원 이하에서 이듬해 5월부터 4억2000만∼4억3000만원으로 가격이 올랐다.

강동구는 69.6%에서 41.1%로, 성동구는 48.3%에서 20.6%로 줄었다.

반대로 서울에서 6억원을 초과하는 전세 아파트의 비율은 2017년 5월 16.2%에서 올해 8월 24.0%로 올랐다.

성동구가 8.4%에서 33.5%로 급등했다. 성동구 성수동1가 쌍용아파트 전용 59㎡는 2017년 5월 3억5000만∼4억25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지만 8월부터 6억원까지 올라 거래되고 있다.

중구는 21.5%에서 40.0%로, 광진구는 20.1%에서 37.5%로 높아졌다.

전세보증금이 9억원을 넘는 서울의 초고가 전세 아파트도 3년 3개월 새 5.0%에서 9.0%로 높아졌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