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땐 풍토병 예방 필수

중앙일보

입력

들뜬 마음으로 해외 여행을 떠날 때는 외국의 풍토병에 대한 사전 예방조치를 자칫 소홀 하기 쉽다.

해외여행 할 때 유념해야할 각종 풍토병 예방법을 살펴본다.

해외 풍토병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말라리아다.

모기에 물려 전염되는 말라리아는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감염될 수 있는 병으로 퍼져 있다.

감염되면 심한 고열과 오한.두통.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동남아.아프리카.중남미 지역을 여행하는 사람은 말라리아에 대한 예방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한다.

말라리아는 예방약을 먹어야 한다. 예방약은 출발 1주일 전부터 복용 하기 시작해야 효과를 볼 수 있고 예방약을 먹어도 발병을 완전히 막지는 못하므로 현지에서도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역시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인 황열은 가나.가봉 등 아프리카 서부지역과 남미 일부지역에서 유행한다. 갑자기 고열과 오한.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이병은 치사율이 무려 60%나 된다.

김포공항의 서울검역소와 인천.부산 검역소에서 출국전 예방백신을 접종한다.

또 인도.스리랑카.동남아.중남미 지역 여행자는 뎅기열이란 전염병도 조심해야 한다.

이밖에 설사.콜레라.장티푸스 등의 전염병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들 전염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여행지에서는 먼저 모기와 식수를 조심해야 한다. 동남아나 아프리카 남부 일부지역을 여행할 때는 출발 전에 긴소매 웃옷과 긴바지, 모기장, 방충제 등을 준비하는게 바람직하다.

모기가 활동하는 해질녁부터 새벽까지 외출 할 때는 반드시 긴 옷을 입고 노출된 피부에는 방충제를 발라 두는 것이 좋다.

가급적 해외에서는 수돗물이든 우물물이든 끓이지 않은 것은 절대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호텔에서도 뚜껑이 있는 병의 식수나 미네랄 워터만 마시도록 하고 음식은 무조건 날 음식을 금해야 한다.

호수나 강물 웅덩이에는 피부를 뚫고 체내로 침입하는 '주혈흡충' 이라는 무서운 기생충이 있으므로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