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주력산업 결국 잃어버린 1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국내 주력산업의 실적이 내년 2분기에야 회복 조짐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3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발표한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조사’에 따르면 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조선해양플랜트·디스플레이·전자정보통신 등 6개 산업의 하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4.2%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해당 산업을 대표하는 6곳 협회로부터 답을 받아 진행됐다.

전경련, 6대산업 하반기 전망 조사 #“코로나 피해, 내년 2분기 돼야 회복” #“수출 줄며 매출 -4.2%, 영업익 -14% #보호무역 대책은 해외투자 강화”

올 상반기 주력업종의 매출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타격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산업의 활약으로 전년 동기보다 0.3% 증가하며 선방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하반기엔 ‘반도체 효과’마저 사라질 것이 기정사실로 하고 있다.

6개 수출 주력 업종 하반기 전망

6개 수출 주력 업종 하반기 전망

주력업종의 하반기 수출과 영업이익도 상반기보다는 감소 폭이 줄어들겠지만, 마이너스 추세를 벗어나긴 어려워 보인다. 주력업종 수출액은 하반기에 전년 동기보다 5.1%, 영업이익은 13.8%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실적 악화의 주요 요인은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감소’였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정보기술(IT) 업계는 상반기에 언급되지 않았던 ‘코로나19로 인한 내수감소’를 심각한 위기 요인으로 꼽았다. 하반기에는 수출 감소에 내수 위축 우려까지 더해질 것이란 얘기다. 이 밖에 반도체는 재고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 조선은 코로나19로 인한 발주 감소 등을 하반기 애로 사항으로 지적했다.

업종별 협회 정책담당 부서장들은 코로나19가 현재 수준으로 지속할 경우, 실적회복은 일러야 내년 2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나아가 ‘내년 4분기나 돼야 회복이 가능하다’ ‘수요 불확실성으로 예측이 불가하다’ ‘코로나19가 통제되기 전까지는 실적회복이 불가능하다’ 같은 비관적인 전망도 나왔다.

수출 비중이 높은 주력업종들은 코로나19와 미·중 무역분쟁으로 촉발된 보호무역 기조에 어떻게 대응할 계획일까. 업종별 협회 정책담당 부서장이 꼽은 대책은 ▶해외 신규거래처 발굴·다변화 ▶해외생산 및 해외투자 강화 ▶산업활동 내 ICT 기술(공정 스마트화, 빅데이터 분석 등) 적용 ▶소재부품에 대한 공급망 관리 및 수급 안정화 등의 순이었다. 어떻게 해서든 국내보다 해외에서 해답을 찾겠다는 얘기다. 전경련은 “당초 기업들이 ‘국내 신규 거래처 발굴’과 ‘국내 생산 및 내수 판매 강화’라는 답을 많이 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예상이 빗나갔다”고 설명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기업이 난관을 타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