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불량, 복부팽만 등 위.장관계질환에 대한 전통 약초약국 처방

중앙일보

입력

  • 위가 뒤집혀 음식물을 토할 경우
    뜨거운 술에 겨자씨를 갈아넣어 1일 3회 식간에 복용한다.

  • 위가 냉하거나 위통에는
    고춧가루 3.75g에 식초 두세 방울을 떨어뜨린 다음, 끓인 물에다 개어서 마신다. 위궤양이나 십이지장 궤양이 있는 사람은 금물.

  • 식욕부진이 심할 때
    고추잎 크게 한줌. 생강 7조각. 달걀 1개를 물 3사발에 넣고 달여서 그 물이 반으로 줄면 복용한다. 2-3회로 효력을 보는데 이때 달걀을 깨어서 넣고 저어야 한다.

  • 식후 소화가 안되고 헛배가 부르거나 가슴이 답답하면
    귤 껍질(흰 것을 벗긴 것) 1근을 말리고 당 감초의 껍질 볶은 것 약 15g과 소금을 살짝 몪은 것 15g 정도에 물 5사발을 부어 은근한 불에 졸인다. 완전히 졸아서 건조되면 가루를 만들어 1회 10g 정도로 매일 3회 끓인 물로 복용한다. 변비와 식체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 구토와 멀미 4계절의 잡병에는
    귤 껍질 약 15g과 생강 3.75g을 삶아 그 물을 자주 마시면 효과를 얻는다. 여름철에는 약간의 설탕을 넣고 차게 해서 마시면 좋다.

  • 갑자기 속이 쓰리고 위가 아플 경우에는
    찻숟갈로 참기름을 1스푼 마시면 효력이 있다. 아픔이 계속되면 1스푼 더 마신다. 설사를 하고 곧 멎게 된다.

  • 식욕부진과 위장의 쇠약에는
    당근을 잿불에 구워서 식전에 반 뿌리씩 장기 복용하면 위를 튼튼히 하고 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위경련. 위카타르에는
    껍질을 벗긴 대추 2개와 매실 1개에다 살구씨 7개를 찧어 복용한다. 남성은 온수에다, 여성은 몇 방울의 식초를 넣어 복용한다. 효력이 없으면 다시 한번 반복한다.

  • 식욕부진과 소화불량 시에는
    씨를 제거한 대추를 세지 않은 불에 구워서 말린 다음, 가루로 만들어 매일 식후에 큰 숟가락 하나씩 복용하되, 끓인 물로 장기간 계속함이 좋다. 대추를 구울 떄에는 절대로 태워서는 안 된다. 건강한 사람이 복용하면 혈기가 좋아진다.

  • 갑자기 오한이나 더위로 인한 위 복통이 일어났을 때
    마른 도라지 40g(생것이면 10뿌리 정도)과 생강 5조각을 삶아 그 물을 마시면 좋다.

  • 구토와 설사에는
    매실을 소금에 절였다가 삶아서 그 국물을 서서히 마시면 멎는다.

  • 배꼽 밑의 아랫배가 아프면
    모과를 서너 조각 썰어서 큰 대추 3개와 뽕잎 7장을 같이 넣고 삶아서 그 국물을 복용한다. 이때 무쇠로 된 칼로 썰으면 안되고 1회복용으로 효과가 없으면 재차 복용하면 반드시 낫는다.

  • 딸꾹질과 위산과다증에는
    생 무우즙과 술을 각각 1컵씩 섞은 다음 여기에 생강즙을 조금 타서 식후마다 복용하면 좋으며, 특히 장기적인 복용은 효과가 크다.

  • 노인의 해소나 천식, 소화불량에는
    무우씨를 볶아서 노랗게 가루를 만든 후에 꿀에 개어서 녹두 알 크기의 환약을 빚는다. 이것을 1회 30-50알씩 3-5회 복용하되 입에 넣어 녹여서 넘기는 것이 가장 좋다.

  • 어린이의 배가 냉하고 차면
    배나무 잎을 삶은 물을 마시면 된다.

  • 식욕부진과 위장 허약증세에는
    보리를 볶아 가루로 만들어 8g정도를 복용한다. 1일 3회 매 식간에 복용하고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효과가 상당히 좋다.

  • 식체와 구토, 설사에는
    사과를 꺠끗이 씻어 껍질째로 썬 다음 20도 정도의 소금물에 7시간을 담가 두었다가 꺼내어 즙을 낸다. 이 즙을 수시로 1잔씩 마시면 효과가 좋다. 이 처방은 위장의 허약을 막고 변비에도 잘 듣는다.

  • 위를 튼튼히 하려면
    자두 큰 것을 7일 동안 소금에 절여 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후 매 식사시에 1개씩 먹으면 좋아지며 주취에도 좋다.

  • 혈기가 허한 사람은 돼지의 위 속에 찹쌀을 가득 채우고 꿰맨 다음 사기 그릇에 담고 물과 배갈을 1그릇씩 부어 찜통에 넣어 10시간이 상을 찐다. 이것을 돌절구에 넣고 잘 찧어서 녹두 알 정도의 환약을 만들어 놓고 1일 3회 식간 마다 따끈한 물로 50알씩 장기 복용하면 효과가 매우 좋다.

  • 위장허약이나 소화불량에는
    1되의 콩을 노랗게 볶은 것과 계내금 반 근을 노랗게 볶은 것을 함께 가루로 만들어 1일 3회 식후에 1숟가락씩 복용하면 효력이 있다.

  • 위산과소증에는
    매일 식후 마다 생 토마토를 1개씩 먹으면 된다.

  • 위산과다증일 때에는
    생 호도의 살을 생강차와 함께 복용하면 좋다.

  • 뱃속에 가스가 차서 헛배가 부를 때에는
    파 뿌리 10개를 삶아서 그 물을 수시로 복용한다.

  • 토사에는
    후추와 녹두를 각각 49알을 섞어 가루로 만들어 따끈한 물로 복용하면 좋다. 모과를 삶은 물로 복용하면 더욱 좋다.

  • 딸꾹질에 좋은 생활 건강차에는
    감잎차, 귤피차, 비파잎차, 오미자차, 유자차

  • 비장 질환에 좋은 생활 건강차에는
    대추차, 모과차, 산딸기차, 연차, 더덕차, 율무차, 개암차, 계피차, 귤피차, 마름차, 삽주차, 아가위차, 오미자차, 탱자차, 잔대차

  • 위장병에 좋은 생활 건강차에는
    민들레차, 삽주차, 솔잎차, 쑥차, 치자차, 호박차, 개암차, 계피차, 귤피차, 다래차, 더덕차, 도토리차, 들깨차, 마름차, 메꽃차, 모과차, 결명자차, 박하차, 비파잎차, 생강차, 아가위차, 오미자차, 옥수수차, 유자차, 인삼차, 칡차, 탱자차, 해당화차

  • 고기 식체에 좋은 생활 건강차에는
    귤피차, 살구차, 연차, 생강차

  • 딸꾹질에는
    곶감 4개를 삶아 그물을 천천히 마신다.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