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음식물 사료, 소 사육농가에도 공급

중앙일보

입력

광우병 공포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지난 97년부터 환경부 지침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의 사료화가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경기도내 각 시.군들은 음식물 찌꺼기로 만든 사료를 소 사육농가를 포함한 축산농가에 공급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와 가축방역 전문가들은 그러나 "광우병은 변질된 음식물 찌꺼기 성분에 변질된 변형단백질(프리온) 이 포함됐을때 발병하는 것으로 국내에서 사육중인 소에는 이 병이 발병하지 않아 음식찌꺼기를 사료로 먹여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97년 환경부의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 정책'에 따라 시.군별로 수거한 음식물 찌꺼기를 선별과 발효과정을 거쳐 사료로 만들어 농가에 공급해 오고 있다.

현재 도내 44개 공공 및 민간시설에서 사료로 만들어지는 양은 하루 평균 259t에 이른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료는 소와 돼지, 닭 등을 사육하는 축산농가에 보조사료로 무상 공급되고 있다.

98년부터 음식물 사료화를 시작한 성남시의 경우 하루 40t을 남양주.광주.용인 이천지역 30여곳의 축산농가에 나누어 주고 있다.

성남시로부터 음식물 사료를 받아 100여마리의 소에 먹여온 남양주시 D농장 주인 김모(44) 씨는 "사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2년여전부터 음식물 사료를 받아다 배합사료와 8대2 비율로 섞어 소의 먹이로 쓰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의 경우 지난 99년 6월 도봉구로부터 공급받은 음식물 사료를 먹은 포천지역 소 137마리가 집단 폐사한 이후 소 사육농가에는 음식물 사료를 공급하지 않고 있다.

도봉구 관계자는 "당시 음식물 사료에 변질된 소시지가 섞여 들어가는 바람에 소가 집단폐사하는 사태가 발생했다"며 "그 일이 있고 난 뒤부터 소 사육농가에는 음식물 사료를 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중구도 하루 100t의 음식물 사료를 돼지농장에만 선별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해 만든 사료를 소, 양과 같은 초식동물에게는 공급하지 말라는 지침을 전국 시.도에 시달했다. (수원=연합뉴스) 박기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