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추억] 고 김복음 전 대한간호협회 사무총장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28일 9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김복음(金福音) 여사는 한국 간호사에 있어 굵직굵직한 족적을 남겼다.

1950년부터 80년까지 30여년동안 간호협회 임원으로 활동한 그는 53년부터 시작된 간호원자격 검정시험제도 폐지운동과 간호고(看護高) 의 전문대 승격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넉넉치 않은 조직을 운영하시느라 늘 노심초사하셨죠. 한번은 신경성 대장으로 아프신데도 출근을 하셔서 후배들이 협회 문 앞에서 집으로 돌아가시도록 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

64년 간호협회에서 섭외.홍보 간사로 활동했던 고려대 간호학과 김순자(金順子) 명예교수의 회고다.

작은 일 하나에도 성심성의를 다했던 그의 면모는 간호협회 이사회가 열리던 날이면 여지없이 드러났다.

"이사회가 열리는 날이면 종일 전화통을 붙들고 계셨지요. 이사회가 소집되지 않으면 사안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었죠. 전화하시지 말라고 그렇게 말씀드려도 '나가서 일보라' 고 하신 뒤 문을 걸어 잠그고 조그마한 목소리로 전화를 하셨습니다. 꼭 성원을 채워 일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였습니다. "

한층 한층 올라갈 때마다 망치로 두드려가며 확인한 뒤 지었다는 서울 중구 쌍림동 간호협회 회관도 간호협회에 대한 고인의 애정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지금도 간호 사고의 대명사처럼 거론되던 이른바 '김영자 사건' 이 69년 터졌을 때 무죄 판결과 간호원의 주사행위 적법성 확보를 위해 앞장섰던 이도 고인이었다.

김영자씨는 부산진보건소에 근무하던 중 의사가 없을 때 스트렙토마이신을 환자에게 주사했다가 사망, 과실치사 혐의로 구속됐었다.

당시 고인은 남편인 고 김석목(金錫穆) 전 서울대 교수와 함께 진정서와 탄원서를 작성하고 새벽에는 관리들을 찾아가 설득했으며 청와대 방문과 간호원들의 '주사 거부' 를 이끌어 70년 3월 마침내 무죄판결을 받아냈다.

1909년 강원도 고성에서 태어난 그는 30년 세브란스 간호원 양성소에 입학한 뒤 33년 일본 도쿄 성누가여자전문대로 유학을 떠나 공중보건간호 기본 연수과정을 마쳤다.

한국전쟁 당시 거제도 포로수용소 간호사와 부산 야전병원 간호원장으로 일했던 고인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75년 국제적십자 위원회가 수여하는 프로렌스 나이팅게일 기장을 받았다. 간호학 교원 양성을 위해 54년 보사부에서 만든 중앙간호연수원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다.

간호협회에서의 활동 뿐 아니라 개인적 삶도 모범적이었던 그는 "안팎으로 깔끔했던 분" 으로 통했다.

부부간의 정도 돈독한데다 1남 3녀가 모두 서울대에 진학하는 등 가정생활도 충실하게 꾸려 후배들 사이에서는 "결혼 전에 반드시 김복음 선생님 집에 다녀와야 한다" 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임명자(林明子) 간호협회 재정이사는 "강직한 면모만큼이나 자애로운 부분이 많으셨다" 며 "회비 인상과 같은 문제도 선생님의 설득이면 무난하게 넘어갈 정도로 후배들의 존경을 받았다" 고 말했다.

이제 고인은 떠났지만 간호에 대한 사랑과 늘 언행이 일치했던 그의 모습은 그를 아끼던 사람들에게 또다른 '복음' 으로 남아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