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짜증내고 이불에 쉬하고···아이들도 '코로나 스트레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휴원에 들어간 경기도 한 어린이집 마당에 적막감이 돌고 있다. 뉴스1

휴원에 들어간 경기도 한 어린이집 마당에 적막감이 돌고 있다. 뉴스1

짜증과 불면, 죽음의 언급…. 어른뿐 아니라 어린 아이들도 이른바 '재난 스트레스'를 겪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여파가 아이들도 비켜가지 않는다는 의미다. 육아정책연구소·한국발달심리학회는 영유아 가정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재난 극복 심리방역 매뉴얼을 공동 보급한다고 14일 밝혔다.

아이들이 받는 '코로나 스트레스'는 크게 4가지 특징으로 요약된다. ▶일상의 변화가 어른보다 더 큰 스트레스이고 ▶말보다 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표현하며 ▶부모 반응을 통해 재난 상황 이해하지만 ▶ 스트레스를 의도적으로 숨기거나 말하지 않는 것이다.

우선 마스크 착용이나 어린이집·유치원 휴원처럼 급격한 일상 변화를 아이들은 쉽게 알아차린다.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반복적이고 일관된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삶이 달라지면 어른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아이들의 언어 표현은 제한적이다. 속마음을 말로 다 드러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말'보다는 '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표현하곤 한다. 재난 상황을 목격한 뒤 평소와 크게 달라진 행동이 나타나는 식이다.

예를 들면 식습관 변화, 수면 어려움, 야뇨증, 악몽, 아기짓 같은 퇴행적 행동, 짜증·공격성 증가, 파괴적 놀이, 죽음 언급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달 18일 서울 종로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18일 서울 종로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이들은 코로나19처럼 낯설고 새로운 존재를 만났을 때 부모 반응을 보고 이해하려 한다. 엄마와 아빠가 불안해하는 걸 옆에서 본 아이들도 똑같이 겁을 먹고 불안해 한다는 의미다. 특히 재난이 뭔지 모르는 아이들에게 재난 상황 자체보다 부모의 비난, 강압적 양육 방식 등이 더 큰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은 부모가 걱정하는 걸 잘 알고 있다. 때문에 큰일을 겪어도 이를 말하지 않거나 아무렇지 않은 듯 행동하곤 한다. 코로나19 유행 같은 재난적 상황에선 어른보다 더 어른스럽게 행동하는 일이 생긴다는 의미다. 다만 스트레스를 받아도 의도적으로 숨기거나 말하지 않다보니 가슴 속에 쌓일 수 있다.

육아연과 학회는 부모들이 아이의 '코로나 스트레스'를 해소해 줄 심리방역을 잘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내 집에만 있더라도 생활 리듬을 지키려면 낮밤이 바뀌지 않아야 한다. 식사와 놀이, 취침 등 하루 일과를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디어에서 쏟아지는 재난 이미지는 안 보여주는 게 좋다.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마음을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것도 중요하다. "너 때문이야"나 "네가 잘못해서 그래" 같은 강압적 표현과 비난도 삼가야 한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