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투표도장 인증샷 위험한 행동, 비닐장갑에도 해선 안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손 등에 투표 도장을 찍어 투표 사실을 인증한 모습. 연합뉴스

손 등에 투표 도장을 찍어 투표 사실을 인증한 모습. 연합뉴스

방역 당국이 4·15 총선 투표 후 손등에 투표 도장을 찍는 행위를 삼가달라고 당부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3일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비닐장갑을 벗고 맨손에 투표도장을 찍어 인증하는 사례가 나오는데 코로나19 방역 상 문제가 없느냐’는 질문에 “적절하지 않은 행동”이라고 답했다.

투표 시 착용해야 하는 일회용 비닐 위생 장갑을 벗고 맨손에 투표도장을 찍을 경우 손이 기표소 내 다른 부분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행동이라는 것이다.

정 본부장은 “손 접촉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투표소에서 마스크와 손 소독제, 비닐장갑을 드리는 것”이라며 “비닐장갑은 투표하고 나오면서 벗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비닐장갑 위에 도장을 찍는 행위도 안된다고 경고했다. “비닐장갑 위에 도장을 찍으면 감염 위험이 낮아질 것 같지만 이 역시 적절하지 않다”면서 “본인과 이웃의 건강을 위해 투표하실 때 반드시 이 수칙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총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투표소에서도 철저한 방역이 이뤄진다.

투표소에 온 모든 유권자는 발열 체크를 받고, 소독제로 손을 소독한 뒤 입장할 수 있다. 투표소 앞에서는 선거 사무원이 나눠주는 일회용 비닐 위생 장갑을 양손에 착용해야 하고, 투표 절차를 모두 마친 다음 출구 앞에서 비닐장갑을 벗어 마련된 함에 버려야 한다. 그러나 10~11일 사전투표 기간 일부 유권자가 기표소 안에서 비닐장갑을 벗고 투표 도장을 손등에 찍어 SNS에 올리는 ‘투표 인증’ 사례가 나와 논란이 일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