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비대증

중앙일보

입력

전립선은 남자에게만 있고, 무게가 약 15-20g정도의 밤알 크기이며, 정액을 만들어 내는 요도 주위의 분비선으로서 방광의 출구에 위치하며 후부요도를 고리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전립선이 비대되면 전립선 중앙을 지나는 후부요도가 압박되어 좁아지게 된다.

전립선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비대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일종의 노화 현상으로서 대개 50대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전립선은 50세 이후부터 누구든지 비대되어 60대는 60%, 80대는 80%이상 남자에서 전립 선 비대증이 생긴다. 나이가 들어 성생활의 횟수가 감소하면 자연히 정액을 생산할 필요가 없어져 전립선의 활동은 계속 위축을 받기 때문에 전립선은 사용하지 않을수록 더욱 비대하여 진다. 실재로 나이가 많아도 계속 성 생활을 한 사람에게는 전립선비대증이 잘 생기지 않는다.

증상은 처음에는 소변을 자주 본다. 배뇨가 잘 되지 않아 방광이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심하면 밤에 야간빈뇨로 인하여 잠을 이룰 수가 없다 전립선이 비대되어 요도가 폐색되면 배뇨를 시작하기 어렵고, 시간이 걸리며, 오줌 줄기가 가늘어지고, 힘이 없고, 멀리 나가지 못한다.

증상이 차차 심해지면 나중에는 소변을 본 후에도 방광에 소변이 남아있는 잔뇨가 생긴다. 이때, 음주나 과로 등을 하게되면 소변이 한방울도 나오지 않기도 한다. 잔뇨량이 계속 증가되면 신장쪽으로 소변이 역류되어 신장 기능을 저하시켜 수신증이나 요독증을 일으킬 수 있다.

전립선비대를 한의학에서는 융폐라고 창하는데 술, 기름진 음식, 맵고 짠 음식 등을 선호하여 체내에 쌓이게 된 습열이 방광으로 내려가서 생기거나, 성생활의 부절제 혹은 고령으로 인한 신양허(腎陽虛)의 결과로 발생하기도 한다.

그외에도 어혈이나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한 정액이 뇨도와 방광사이를 폐색함으로써 생길 수 있다.
의사의 정확한 진단하에 약물요법과 침구요법을 병용한다면 양호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이며, 하루 2-3차례씩 따땃한 물을 대야에 채우고 약 10분간 엉덩이를 담그로 앉아 있는 방법은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증상을 호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