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걸린 대구 軍부대, 간부들 재택 근무 고육책까지 꺼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방부가 대구지역 부대에 필수 인력을 제외한 간부들의 재택근무를 지시했다. 군대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특단의 조치를 취한 것이다.

26일 오후 대구 육군 제50사단 진입로 앞에서 소속 장병들이 방문자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육군 50사단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예방하기 위해 부대 출입구에 검문소를 설치, 부대 방문자에 대한 발열 검사와 소독제 사용을 시행하고 있다.[연합뉴스]

26일 오후 대구 육군 제50사단 진입로 앞에서 소속 장병들이 방문자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육군 50사단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예방하기 위해 부대 출입구에 검문소를 설치, 부대 방문자에 대한 발열 검사와 소독제 사용을 시행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방부는 27일 “대구지역 부대 내 감염 예방을 위해 이날부터 1주일 동안 한시적 비상근무체제로 전환한다”며 “지휘관 등 필수 인력은 영내 대기 근무를 하되 기타 인원은 자가 등 지정된 장소에서 예방적 격리상태로 기본업무를 수행한다”고 밝혔다.

지휘관, 지휘통제실 근무자, 전력장비 운용요원, 비상대기 등 군사대비태세 유지에 필수적인 인원은 상시 영내 대기 태세를 갖춰야 하지만,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간부와 군무원들은 출근하지 않고 자택에서 근무한다. 군 당국은 또 해당 지침은 경북지역 소재 부대의 경우 지휘관 판단 하에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

군 당국은 후방작전 핵심시설과 주요 공군부대들이 다수 밀집된 대구의 특수성을 들어 이번 결정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 대구지역엔 육군 2작전사령부와 50사단, 공군 대구 공군기지(11전투비행단), 군수사령부, 전투사령부가 있다.

군 관계자는 “대구가 신종 코로나 위험지역으로 떠오르면서 수위 높은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어떠한 경우에도 군사대비태세 유지에 필요한 전투력 보존을 최우선 과업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지역 부대에서 최근 3일간 발생한 10명의 확진자 대부분이 출퇴근하는 간부라는 점도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비교적 야외 이동이 자유로운 간부들과 병사들의 접촉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다.

이날 군 당국은 군 내 확진자를 25명으로 집계했다. 전날(26일)과 비교했을 때 5명이 늘어났다. 특히 이날 확진자가 된 대구 육군부대 소속 군무원 1명은 앞서 확진 판정을 받은 같은 사무실 군무원으로부터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지역 부대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 중 지난 24일 1명, 25일 2명도 군 내부 접촉으로 인한 감염자로 파악된다. 군 당국이 대구지역 부대의 내부 감염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군 당국은 또 이날 총 9990여명을 격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중 확진자 밀접 접촉 등 보건당국 기준에 따른 격리 인원은 820여명이고, 군 자체 기준에 따른 예방적 격리 인원은 9170여명이다. 전날 총 격리인원 9570명보다 400여명이 늘어났다.

이근평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