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치료돼도 폐손상 심각?…SNS 떠도는 가짜뉴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연합뉴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하는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떠도는 가짜뉴스가 시민 불안감을 키우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27일 SNS에 ‘오늘 기재부주관 제약회사 사장들과의 회의 참석 후 썸머리(요약)’이라는 글이 퍼졌다.

해당 글에는 ‘환자는 산소를 불어넣는 치료를 하는데 폐기능이 약한 사람은 방법 없이 방치’, ‘백신은 4월경이 되어야 나올 것’, ‘4월까지 대부분 여행사 부도’, ‘우리나라는 4월이 피크가 될 것’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치료되어도 폐손상이 너무 심각하다’는 등 코로나19와 폐 건강의 연관성을 자세히 기술했다.

하지만 이는 명백한 가짜뉴스다. 기획재정부 대변인실과 녹십자·한국제약협회·테라젠이텍스 등은 기재부가 주관하는 제약회사 대표회의 자체가 없었다며 “신빙성 떨어지는 이야기”라고 못박았다. 또 “백신이 4월에 개발된다는 이야기도 사실 무근”이라고 강조했다.

가짜뉴스. 사진 온라인커뮤니티 캡처

가짜뉴스. 사진 온라인커뮤니티 캡처

‘여행사 부도. 정부에 인건비 50% 보조 요청’ 및 ‘이번 달 제주 여행취소 98%’ 역시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한국여행업협회는 “대부분의 여행사가 부도난다는 건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고용부에서 고용유지지원금 제도 운영하지만 1인당 1일 6만6000원 수준”이라며 “정부에 인건비 50% 보조 요청을 했다는 건 터무니없는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제주도 여행취소 98%도 항공 취소인지, 예약 취소인지 불분명한 데다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경찰은 코로나19와 관련해 악의적으로 허위사실을 생산하거나 유포하는 경우 구속수사 등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을 이미 밝혔다. 검찰도 가짜뉴스 유포 등 불안감을 확산시키는 범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들도 유언비어 유포 등을 근거로 법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