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차 감염' 모두 나온 6번 환자 세 가족···중국 밖 첫 사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우한 교민들이 전세기를 타고 귀국한 31일 교민 중 유증상자 4명이 중앙대병원 격리 시설로 이송, 병원 입구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우한 교민들이 전세기를 타고 귀국한 31일 교민 중 유증상자 4명이 중앙대병원 격리 시설로 이송, 병원 입구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증후군(우한폐렴) ‘3차 감염’ 추정 환자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다. 30일 3번 환자에게 감염된 6번 환자(2차 감염)가 나온 데 이어 하루만에 3차 감염까지 나온 것이다. 중국 밖에서 나온 사실상 첫 3차 감염 사례다.

3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6번 환자(55세 남성)는 22일 서울 강남구 한일관에서 3번 환자(54세 남성)와 함께 1시간 30분 가량 식사를 했다. 26일 3번 환자가 확진된 후 접촉자로 분류돼 능동감시가 진행중이었다. 이후 보건당국 검사를 거쳐 3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런데 6번 환자와 접촉한 8명을 심층조사하는 중에 환자 가족 두 명에게서 양성 판정(31일 오후)이 추가로 나왔다. 두 사람은 중국 여행력이나 다른 환자 접촉력 등이 없다. 6번 환자에게 전염된 것으로 풀이된다. 3번 환자가 6번 환자로, 다시 6번 환자가 가족 2명에게로 연쇄적인 감염이 나타난 것이다.

한 가족에서 3명의 감염자가 발생했다. 다만 2차 감염, 3차 감염이 모두 나타난 이들 가족의 건강 상태는 양호한 편으로 알려졌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6번 환자와 가족 두 분은 증상이 거의 경미한 상황이다. 전파가 진행되면서 전염력이 어떻게 되느냐는 아직 신종 코로나가 많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감염병인 신종 코로나의 3차 감염 사례는 흔치 않다. 정 본부장은 ”중국에선 3차, 4차 감염 많이 진행된 걸로 확인했다. 중국 이외 다른 국가도 2차 감염은 많이 발생했다. 어느 정도 잠복기 거쳐 어떻게 전파됐는지 봐야하는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