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위 내륙 번지나…中 화저우현 화장장 반대 격렬 시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 SNS에 올라온 광둥성 마오밍시 산하 화저우현급시 원러우진 화장장 반대 시위 사진. 지난달 28~29일 인구 6만 여명의 화저우시에서 화장장 건설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져 경찰과 시위대가 격렬히 충돌한 것으로 전해진다. [웨이보 캡처]

중국 SNS에 올라온 광둥성 마오밍시 산하 화저우현급시 원러우진 화장장 반대 시위 사진. 지난달 28~29일 인구 6만 여명의 화저우시에서 화장장 건설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져 경찰과 시위대가 격렬히 충돌한 것으로 전해진다. [웨이보 캡처]

지난달 28~29일 홍콩에서 400여㎞ 떨어진 광둥(廣東)성마오밍(茂名)시의화저우(化州)현원러우(文樓)진에서 화장장 건설에 반대하는 폭력시위가 발생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홍콩 언론이 1일 보도했다. 현지 시위대는 장갑차와 물대포를 앞세워 최루탄을 쏘며 진압에 나선 경찰을 향해 화염병과 벽돌을 던지며 충돌했다. 진압 경찰은 시위대의 머리에 최루탄을 발사했으며 시위대 수십 명이 다쳤으며 주민 100여 명이 체포됐다고 SCMP는 보도했다. 중국 당국은 이에 따라 화장장 건립을 재빨리 중단하며 민심 수습에 나섰다고 SCMP와 홍콩 명보 등이 전했다. 중국 당국은 화저우 시위에 6개월간 계속되고 있는 홍콩의 범죄인 송환법 반대 시위가 내륙으로 번지지 않도록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화염병·벽돌 던지며 최루탄·물대포 맞서 #중국, 재빨리 계획 취소하며 민심 수습 #홍콩서 400㎞ 떨어져 홍콩 암시 SNS도

이번 시위는 현지 정부가 추진 중인 ‘화저우시 인문 생태공원 건설 프로젝트’ 사업계획을 지난달 15일부터 25일까지 공시한 뒤, 27일 돌연 ‘화장장 포함(含殯儀館)’ 네 글자가 추가되면서 촉발됐다. 주민들은 화장장이 식수원 가까이 건립된다며 오염을 우려해 28일 곧바로 거리로 나서 반대했다. 시위가 시작되자 당국은 즉각 대규모 경찰 병력을 투입해 초동 진압에 나서는 한편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올라온 시위 게시물을 실시간으로 삭제했다. 시위 이튿날인 29일 화저우 정부는 “해당 프로젝트에 다른 의견이 존재하고 추가 의견 수렴이 필요해 프로젝트를 중단한다”면서 “공중 질서를 파괴하는 행동은 엄중히 처벌할 것이며 관용은 없다”며 사업 중단을 공고했다. 하지만 중단 공고에 공문서 일련번호가 없어 현지 주민들은 진위를 의심하고 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는 지적했다.

중국 광둥성 마오밍시 산하 화저우 현급시 정부가 29일 발표한 화장장 건설 프로젝트 중단 공고 문건. 현지에서는 진위 논란이 있다고 홍콩 언론은 지적했다. [웨이보 캡처]

중국 광둥성 마오밍시 산하 화저우 현급시 정부가 29일 발표한 화장장 건설 프로젝트 중단 공고 문건. 현지에서는 진위 논란이 있다고 홍콩 언론은 지적했다. [웨이보 캡처]

여기에 홍콩 시위의 영향도 확인되고 있다. 자유아시아방송(RFI)은 홍콩 독립파를 일컫는 ‘항독(港獨)’을 빗대 이번 시위자를 ‘마오밍 독립(茂獨)’, ‘마을 독립(村獨)’으로 부르는 SNS 게시물이 등장했으며, “당신들은 이제 모(某) 국제도시의 행위를 이해할 수 있겠나?”라며 홍콩 시위를 암시하는 글까지 등장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29일 홍콩-마카오-주하이를 잇는 강주아오 대교에서 경찰 1000여명이 동원된 시위 진압 실전훈련 장면. 오는 20일 시진핑 주석이 참가 예정인 마카오 반환 20주년 기념행사를 대비한 훈련으로 전해진다. [웨이보 캡처]

지난달 29일 홍콩-마카오-주하이를 잇는 강주아오 대교에서 경찰 1000여명이 동원된 시위 진압 실전훈련 장면. 오는 20일 시진핑 주석이 참가 예정인 마카오 반환 20주년 기념행사를 대비한 훈련으로 전해진다. [웨이보 캡처]

화저우현급시는 지난 2014년에도 리강(麗崗)진에서 주민 1만여 명이 화장장 반대 시위를 벌여 건설을 무산시키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2007년 샤먼(廈門), 2011년 다롄(大連), 2012년 닝보(寧波) 등에서 유독성 석유화학 물질인 파라자일렌(PX) 공장 건설에 반대하는 대규모 주민 시위가 벌어졌다. 중국에서 집단시위를 일컫는 ‘군체성 사건’은 2000년대 들어 환경 오염 시설과 토지 몰수가 빈발하면서 매년 18만여 건까지 급증했다. 하지만 최근 학계에 따르면 시진핑 정부가 출범한 뒤 2014년 이후 당국의 관리가 강화되면서 군체성 사건 발생 숫자가 빠르게 줄어들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지난달 29일 홍콩과 중국의 주하이(珠海), 마카오를 잇는 강주아오(港珠澳) 대교에서 시위 진압 경찰 1000여명이 동원된 대규모 실전 진압 훈련이 펼쳐졌다. SCMP는 오는 20일 시진핑 주석이 참가할 예정인 마카오 반환 20주년 기념행사를 앞두고 홍콩 시위의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