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IMF 총재 만나 “日 수출규제 조치 부당”

중앙일보

입력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국제통화기금(IMF)에 일본 수출규제 조치의 부당성을 알렸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IMF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와 악수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IMF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와 악수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홍 부총리는 17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만나 “일본 수출규제 조치는 비(非)경제적 이유로 수출을 제한해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위반했다”며 “자유무역 환경을 조성하자는 지난 6월 G20 오사카 정상회의 합의 정신과 배치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생산 차질 등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기업의 불확실성 확대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며 조속한 해결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또 “무역갈등은 대외 개방도가 높은 국가에 더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며 “IMF가 자유무역 가치를 회복하고 글로벌 가치 사슬(value chain)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미·중 무역갈등과 일본 수출규제 등의 영향이 가시화하는 데 따른 언급이다.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직접 손실이 전 세계 GDP의 0.8%에 달할 뿐 아니라 기업의 투자 심리 악화 등 추가 간접 피해도 크다”며 “미·중 무역 갈등은 단순한 휴전이 아니라 조속히 종전돼야 한다”고 화답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세계 경제가 둔화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한국이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며 “고령화 대응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가용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경기 둔화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니르말라 시타르만 인도 재무장관과도 면담을 갖고 한-인도 CEPA 협상도 조속하게 마무리할 것도 주문했다.

세종=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