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D의 공포에···한은 금리 인하, 역대 최저 1.25%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준금리가 다시 역대 최저인 1.25%로 내려앉았다.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6일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1.50%에서 0.25%포인트 인하한 1.25%로 조정하기로 의결했다. 지난 7월 0.25%포인트 인하(1.75→1.50%)한 데 이어 올해 들어 두 번째 인하다.

1.25%는 역대 최저 기준금리와 같은 수준이다. 과거 한은은 2016년 6월 기준금리를 1.25%로 내린 뒤 유지하다가 2017년 11월 1.50%로 올린 적 있다. 이번엔 1년 11개월 만에 다시 최저 기준금리로 돌아갔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석 달 만에 다시 내린 건 경기가 좀처럼 살아날 조짐이 보이지 않아서다. 이미 이주열 한은 총재는 공개석상에서 지난 7월 전망한 올해 경제성장률 2.2% 달성이 어렵다고 인정했다. 반도체 단가 하락으로 수출이 크게 줄어든 데다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서 글로벌 교역이 위축된 영향이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 후반으로 낮춰 잡았다.

한국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한국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이례적인 마이너스 물가도 걱정거리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4%로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한은은 ‘디플레이션 우려는 없다’면서도 저물가가 지속하는 것을 부담스러워 한다. 지난 8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이 총재는 “저물가가 오래 가게 되면 기대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실물(경기)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걱정한다”며 “경기회복세를 빨리 살려서 물가를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로는 경기회복의 불씨를 살리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화폐유통속도가 역대 최저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금리를 내려 돈을 풀어도 소비·투자확대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풀린 돈이 부동산시장으로만 쏠려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한은의 다음 스텝에 쏠린다. 1.00%의 기준금리는 한은 역사상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길이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3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0%대 초반에 불과할 것”이라며 “내년 1분기에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시장에선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