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실장 "대북 특사 파견 검토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뉴스1]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뉴스1]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4일 대북 특사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국가안보실 2차장(김현종)이 대북 특사를 암시했는데 청와대의 입장은 어떤가’라는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대북 특사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 실장은 이어 ‘4ㆍ11 한·미 정상회담에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도 의제인가’라는 질문엔 “폭넓은 틀 속에서 여러 문제를 다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월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직후 일각에서 남북 정상회담이나 대북 특사 파견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그러나 정부는 당분간 냉각기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대북 특사 파견 대신 중국, 러시아 등과 접촉하며 상황 관리에 집중했다. 하지만 정 실장이 이날 대북특사 파견 가능성을 공개 언급함에 따라 사실상 대북 특사 파견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정 실장은 특사 파견 시기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이날 발언은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이 한·미 정상회담 사전 협의를 위한 미국 현지 일정을 마무리한 직후 나왔다는 점에서 미국과도 의견조율이 이뤄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단 지난 1일(현지시간) 워싱턴 도착 직후 "우리 동맹국인 미국과도 먼저 조율해서 (북측을) 만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라고 했던 김 차장은 귀국길(현지시간 3일)엔 "그건 제가 지금 코멘트(언급)할 수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정부 당국자는 "미국과 북한 모두 추가 비핵화 협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한국이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현재 상황이 매우 유동적으로 전개되고 있어 누가, 언제 특사로 갈지는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3월과 9월 대북 특사 파견을 통해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을 합의하는 등 남북관계 복원과 비핵화 협상 진전에 물꼬를 텄다.

정용수·유성운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