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0조 넘긴 삼성SDS “클라우드 써, 해킹에 더 안전할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글로벌하게 보면 기업 열 개중 여덟개 이상이 클라우드를 쓰는데 한국은 여전히 낮죠”

홍원표 대표이사(사장)을 비롯한 삼성SDS 임원진이 ‘클라우드 전도사’를 자처했다. 가상의 서버 환경에서 탄력적으로 인터넷 서버를 공급받을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외산 기업 강세 속에서 국내 기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분야다.

홍원표 삼성SDS 대표가 14일 오전 서울 송파구 삼성SDS에서 열린 클라우드 보안 미디어데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삼성SDS는 '들어오지 못하게', '나가지 못하게', '나가도 쓸모없게'라는 3대 보안 원칙을 적용한 클라우드 보안 토털 서비스를 공개했다. [뉴스1]

홍원표 삼성SDS 대표가 14일 오전 서울 송파구 삼성SDS에서 열린 클라우드 보안 미디어데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삼성SDS는 '들어오지 못하게', '나가지 못하게', '나가도 쓸모없게'라는 3대 보안 원칙을 적용한 클라우드 보안 토털 서비스를 공개했다. [뉴스1]

삼성SDS는 14일 서울 잠실 사옥에서 미디어 데이를 열고 클라우드 기술 관련 보안 이슈를 설명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2020년 글로벌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율이 8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클라우드는 자체 데이터 센터보다 인트라넷에 ‘누가 들어왔는지’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안전하다고 여겨진다. 해킹 우려도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날 설명회 자리에서 삼성SDS는 클라우드 보안 문제와 관련 “▶들어오지 못하게 ▶나가지 못하게 ▶나가도 쓸모없게 등 3가지 보안 원칙을 적용한 토털 서비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클라우드서 데이터 나가도 '암호 기술'로 쓸모없게 만든다 

한성원 삼성SDS 보안사업담당 상무는 “해커가 클라우드 서버에 침입해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돼더라도 사실상 데이터를 쓸 수 없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삼성SDS는 이날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에 삼성SDS 자체 알고리즘을 적용, 수학적으로 변환시켜 해커가 찾지 못하게 하는 ‘화이트박스암호 기술’도 소개했다.

과거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의 시스템통합(SI) 사업을 맡았던 삼성SDS는 2013년 대기업의 공공 SI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소프트웨어 산업법’ 시행을 계기로 체질 개선에 주력해왔다. 지난해에는 연 매출 10조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또한 2017년 대비 20% 증가한 8774억원으로 집계됐다.

6월에는 춘천에 데이터센터 완공

홍원표 사장은 “삼성SDS는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데이터를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SDS는 오는 6월 강원도 춘천에 데이터 센터를 완공해 데이터 서버 대여뿐 아니라 시스템 운영까지 도맡는 클라우드 토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호수가 많고 시원한 춘천은 열이 많이 발생하는 데이터 센터를 짓기에 국내에서 최적지로 꼽히는 곳이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