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폐업 전제로 정부차원서 대책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대우조선이 폐업합 경우 직면한 문제점과 정부차원의 사후대책수립에관해 본격적인 검토에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고위당국자는 10일 『정부는 그동안 모스크바에 가있는 김우중대우회장과 간접접촉을 갖고 대우측의 최종 의사를 타진한 결과 김회장으로부터 기업적으로는 도저히 해결이 불가능하며 대가를 치르더라도 폐업할수밖에 없다는 연락을 받았다』 고 밝히고 『정부는 대우파업이 우리경제에 줄 충격을고려, 폐업만은 막아보려 했으나 이제 대우측의 폐업주장과 그에따른 대책을 검토하지 않을수없는 단계에 왔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대우폐업이가져올▲외국선주들과의 문제▲대우연대지불보증에 따른 채무정리와 금융문제▲거제주민과 하청업체문제등을 생각하면 정부가 감히 폐업을 방치하지 못할것이라는게 노조와 배후운동권의 주장이자 논리』 라고 분석하고 『그러나 정부는 그같은 어려움에도 불구,경제전체를 살리기위한 수술의 차원에서 폐업과 폐업후의 대책을 수립중』 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 폐업으로 직장을 잃게될 대우조선 근로자들은 동종의 타기업이나 대우그룹내 타업종으로 전출케하고 3백90개의 하청업체는 창업지원법에 근거, 타업종으로 전환토록 자금지원을 하거나 삼성·현대등 다른 조선사와의 연결을 주선한다는 것등이다.<관졔기사5· l5면>
그러나 정부는 대우의 수주물량중 경기가 나쁠때 낮은 가격으로 주문받은 것을 현대나 삼성이 인수할것이냐하는 문제, 이미 삼성·현대의 도크가 자체건조계획에 의해 꽉 찼고,궁극적으로 제3자 인수에 어려움이 있는등의 문제로인해 폐업에 앞서 최후순간까지 노사타결을 시도할 방침이며 현재 국제조선경기가 좋아지고 있고 근로자들의 지나친 요구에대해 거제주민이 반발하고있어 어느정도 수습될 가능성을 배제하지않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