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일 비공개 국장급 협의…남방3각 공조 되살리기 나서나

중앙일보

입력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왼쪽)과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지난해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왼쪽)과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지난해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ㆍ일 외교부 동북아국장이 지난달 31일 도쿄에서 비공개로 만난 사실이 1일 공개됐다. 외교부는 1일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은 가나스기 겐지(金杉 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협의를 가졌다”며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문제, 일본 초계기 관련 문제 등 양국 간 현안을 포함한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교환을 했다”고 밝혔다.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한ㆍ일 관계의 진화 작업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부는 이번 협의가 “김 국장이 주일지역 공관장 회의(1일)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계기”에 열렸다고 했다. 발표 보도자료 분량은 200자로 짤막했다. 양국 갈등의 골이 깊은 가운데 발표할만한 실마리를 속시원히 찾기 어려웠음을 보여준다.

NHK는 1일 이번 협의에서 가나스기 국장이 김국장에게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해 한국 정부에 요청했던 정부 간 양자협의에 응할 것을 재차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지난달 9일 한일 청구권협정 3조1항에서 분쟁 해결 절차 중 하나로 언급된 외교적 협의를 요청하며 이례적으로 “30일 이내”라고 시한을 일방 통보했다. NHK는 1일 보도에서 “(가나스기 국장의 요청에 대해) 김 국장은 요구에 응할지에 대해 명화히 밝히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김 국장과 가나스기 국장은 또 한국 정부가 설립허가 취소 등 절차를 진행 중인 위안부 화해ㆍ치유 재단의 해산과 관련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고 NHK는 보도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26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외교부 제공]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26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외교부 제공]

김 국장과 가나스기 국장은 지난달 23일 스위스 다보스포럼을 계기로 열린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상 회담에서 얼굴을 마주했다. 31일 비공개 회동은 다보스 회담에 이어 실무급에서 쟁점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해석된다. 비핵화 관련 북ㆍ미간 협상이 본격 궤도에 오른 시점에서 한ㆍ미ㆍ일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는 공감대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일 대사를 지낸 신각수 전 외교부 1차관은 “대화의 끈을 양국이 놓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단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