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하루 두시간 개인방송 본다”…즐겨보는 소재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국 13~18세 중고생 1058명을 대상으로 '어린이, 청소년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인터넷 개인방송 하루 평균 시청시간이 두 시간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전국 13~18세 중고생 1058명을 대상으로 '어린이, 청소년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인터넷 개인방송 하루 평균 시청시간이 두 시간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10대 청소년들이 하루 평균 두시간 가량 인터넷 개인방송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게임을 소재로 한 방송 시청이 많았다.

6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최근 경희대 연구진에 의뢰해 전국 13~18세 중고생 1058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청소년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청소년은 하루 평균 114.9분 동안 인터넷 개인방송을 시청했다. 플랫폼별로는 유튜브가 3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아프리카TV(16.8%), 트위치(16.6%), V앱(11.7%), 네이버TV(11.6%) 순이었다.

방송 소재로는 게임방송이 22.7%로 가장 인기가 높았고, 먹방(19.7%), 토크방송(11.6%), 뷰티방송(10.9%),  음악방송(8.2%) 등의 순으로 많았다.

노출수위가 높고 음담패설을 주요 소재로 하는 성인방송(0.4%)을 즐겨본다는 일부 청소년도 있었다.

청소년 응답자들은 인터넷 개인방송의 문제점으로는 ‘비속어‧유행어 등 부적절한 언어사용’를 많이 꼽았고, ‘선정성’, ‘폭력성’, ‘사회적 약자 비하‧차별 등 반사회적 콘텐트’, ‘사생활 침해’ 순으로 지적했다.

문제가 발생한 개인방송에 대한 규제 의견으로 청소년 응답자의 76.3%가 동의했다. 반대 의사를 밝힌 응답자는 7.6%에 불과했다.

규제방안으로는 ‘진행자 완전 퇴출제’ , ‘유해방송 표시제’, ‘차단시스템’, ‘형사처벌’, ‘등급제’ 순으로 답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