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의집, 화해치유재단 해체 소식에 “할머니 모두 기뻐했다”

중앙일보

입력

지난 1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쉼터 나눔의집에서 이옥선 할머니(가운데)가 한일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 발표를 시청한 후 발언하고 있다.

지난 1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쉼터 나눔의집에서 이옥선 할머니(가운데)가 한일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 발표를 시청한 후 발언하고 있다.

일본군 성노예 피해 할머니들의 보금자리 ‘나눔의집’이 화해치유재단 해체 소식에 “할머니 모두 기뻐했다”고 전했다.

나눔의집은 21일 입장문을 내고 “2015년 피해자를 철저히 배제한 한일정부 간 정치적 야합으로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해체 소식에 이옥선 할머니는 ‘일본의 돈을 받아 재단을 설립한 것은 이전 정부가 할머니들을 도로 팔아먹은 것과 같다’고 하시며 ‘이제라도 해체되어 다행’이라고 하셨다”고 밝혔다.

강일출, 박옥선, 또 다른 이옥선 할머니 등 다른 할머니들도 해산 소식에 기뻐하시며 “앞으로 일본의 사죄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힘써 줬으면 좋겠다. 일본이 보낸 돈 10억엔을 하루빨리 돌려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나눔의집은 전했다.

반면 외교부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관련 헌법 소원에 대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소송 낼 자격이 없다’는 취지의 의견서를 제출한 데 대해서는 깊은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나눔의 집은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한일 양국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인권 규범을 거부하는 일본 정부와 국제사회와의 문제다. 양국의 합의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피해자들의 의사에 반해 만들어진 화해치유재단 해체 추진에 대해 정부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피해자들의 바람처럼 일본이 보내온 10억엔의 조속한 반환을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안을 파기 또는 무효로 하는데 힘써주기 바란다. 생존자 피해자와 사망피해자의 위로 금액이 다른 점과 위로금을 받지 않은 피해자들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나눔의 집 측은 피해자 인권회복을 위해 피해자들의 증언과 생애를 영화, 서적을 통해 널리 알리고 해외 소녀상 건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역사 및 인권교육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정부가 해산 결정을 공식적으로 밝히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