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일본돈 10억엔 쓰며 버티는 화해치유재단, 굴욕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위안부 관련 단체들을 통합해서 출범한 정의기억재단이 박근혜정부의 ‘화해치유재단’을 즉각 해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일본으로부터 받은 10억엔 행방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6일 오전 서울 중구 화해치유재단 앞에서 열린 '화해치유재단 즉각 해산을 위한 1차 국민행동 선포 기자회견'에서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2018.8.6/뉴스1

6일 오전 서울 중구 화해치유재단 앞에서 열린 '화해치유재단 즉각 해산을 위한 1차 국민행동 선포 기자회견'에서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2018.8.6/뉴스1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대표는 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93세인 김복동 할머니는 암투병 중에도 병문안을 온 문재인 대통령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일본으로부터 받은) ‘10억엔 반환해주고 화해치유재단 해산해주면 그 다음은 우리가 싸우겠다’고 호소했다”고 전했다.

文 사과에도 2015 한일 합의 그대로 #일 안하는데 운영비만 月 2750만원

정의기억연대는 28년간 활동했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2015년 한일 합의를 무효화하기 위해 100만여 시민이 출연해 만든 정의기억재단이 지난 7월에 통합해 만든 단체다.

할머니들이 화해치유재단 해체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이 재단이 한ㆍ일 위안부 합의의 당위성만 홍보하면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상처를 어루만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윤 대표는 “고개 끄덕이게 훈련을 시킨다든가 이게 사죄금, 배상금이다. 목적 실현을 위해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그런데도 한 달에 2750만원에 이르는 운영비를 10억엔에서 써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 대표는 “피해자들이 사실은 굴욕적으로 느끼는 재단이다”며 “왜 일본 정부에게서 받은 10억 엔을 가지고 이미 2년 동안 아무 목적 실현을 위해서 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그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느냐”고 반문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일본에서 받은 돈은 하나도 쓰지 않고 피해자 치유에 필요한 예산은 우리 돈으로 충당하겠다고 했으니 화해치유재단은 더더욱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달 24일 일본의 10억엔을 대체할 예비비로 103억원을 편성했다.

윤 대표는 화해치유재단 해체가 법적으로도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난해 12월 27일 한ㆍ일 합의 2주년 때 정치적이면 합의가 있었던 것이 드러났고, 그다음 날 문 대통령이 ‘진실과 정의, 내용과 절차 면에서도 2015년 한ㆍ일 합의는 잘못됐다. 위안부 문제 해결이 아니었다’고 선언했다”는 것을 상기시키면서 “법인이 목적 사업을 달성할 수 없을 때 해산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게 정부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의연 등 시민단체들은 7일부터 화해치유재단 앞에서 재단의 해산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윤미향 대표는 위안부 생존자로 암 투병 중인 김복동 할머니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했던 말을 전했다. “지난 1월, 문재인 대통령이 암 투병 중인 할머니를 병문안을 왔을 때 하신 말씀이 있다. ‘정부는 10억엔 돌려주는 것과 화해치유재단 해산하는 것만 해주세요. 나머지는 저희가 싸우겠습니다. 한반도 문제, 경제 문제 해야 할 일이 참 많죠. 위안부 문제는 그것만 해결해 주면 나머지는 저희가 싸우겠습니다.’ 저는 이 말씀에 대답이 있다고 생각한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na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