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진 의원이 지적한 네이버 뉴스 대책에 숨겨진 문제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왼쪽)과 한성숙 네이버 대표(오른쪽) [연합뉴스, 장진영 기자]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왼쪽)과 한성숙 네이버 대표(오른쪽) [연합뉴스, 장진영 기자]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은 9일 "금일 발표된 네이버의 뉴스 및 댓글 개선안은 여전히 미진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네이버의 뉴스 및 댓글 개선안은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는 "3000만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의 플랫폼 영향력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일부 언론사만 아웃링크를 선택하게 되면 트래픽과 광고 수익에 막대한 손실을 보게 된다"며 "이는 유망상권의 건물자가 세입자를 쫓아내는 격"이라고 꼬집었다.

또 김 의원은 "또한 3분기 이후 뉴스판이나뉴스피드판을 신설해 광고 수익과 독자 데이터를 제공한다지만, 네이버의 미디어 장악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밖에 없고 사실상 아웃링크를 채택할 언론사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구글과 같이 전면 아웃링크 방식을 도입해야만 미디어 독점을 분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의원은 댓글체계 개편 시기도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 각 당의 후보가 상당 부분 정해졌고, 토론회 등 사실상 선거 기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댓글 정책 개편을 즉시 시행해야 한다"라며 "일부 보도를 통해 네이버 댓글 조작이 여전히 가능하다고 밝혀지고 있다. 개편안을 즉시 실행해야 제2의 드루킹 사태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모든 문제가 네이버의 막강한 미디어 영향력으로부터 비롯된 만큼 미디어 권력 분산 방안을 하루빨리 국회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네이버는  뉴스·댓글 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해 "더는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는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네이버는 모바일 메인 화면에서 뉴스를 제외하고, 각 언론사가 아웃링크 도입·댓글 허용 여부·정렬 방식을 정하도록 하겠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