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값’ 높으신 코발트 안정적으로 확보한 LG화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충산 서산 소재 LG화학 대신공장 전경. [사진 LG화학]

충산 서산 소재 LG화학 대신공장 전경. [사진 LG화학]

LG화학이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코발트’를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게 됐다. LG화학은 11일 “중국 화유(Huayou) 코발트와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국 저장성 소재 화유코발트는 세계 1위 코발트 생산 업체다. 지난해 생산량은 2만t에 달한다.

전구체·양극재 합작법인 설립 #화유코발트에 2400억 투자 #전기차 40만대분 배터리 생산 가능 #“원재료부터 배터리까지 수직계열체계”

이번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화유코발트와 2020년까지 총 2394억원을 출자해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을 각각 설립한다. 중국 저장성 취저우시(衢州市)에 설립하는 전구체 합작법인은 LG화학이 833억원을 출자해 지분 49%를 확보한다. 또 중국 장수성 우시시(无锡市)에 설립하는 양극재 합작법인은 LG화학이 1561억원을 출자해 51%의 지분을 확보한다.

전구체는 배터리의 양극재 제조를 위한 상위 공정으로, 코발트·니켈·망간 등을 결합해 제조한다. 양극재는 이 전구체와 리튬을 결합해 만드는 배터리 소재다.

코발트. [중앙포토]

코발트. [중앙포토]

이에 따라 LG화학은 화유코발트(코발트 등 원재료) → 합작 생산법인(전구체/양극재) → LG화학(배터리)으로 이어지는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LG화학은 지난 2016년 9월 GS이엠의 양극재 사업을 인수하면서 전구체와 양극재 기술력을 확보한 바 있다.

LG화학이 설립하는 전구체·양극재 합작 법인의 연간 생산 능력은 각각 4만t 규모다. 이는 1회 충전으로 320km 주행이 가능한 고성능 전기차를 위한 약 40만대분의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규모다.

LG화학은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전구체와 양극재를 중국 난징(南京) 배터리 공장(소형 전기차와 대규모 저장장치용 배터리 생산)과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에서 사용할 예정이다. 전구체·양극재 합작법인은 오는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하며, 향후 수요가 증가하면 10만t까지 증설할 계획이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은 “화유코발트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면서 LG화학은 핵심 원재료에서 배터리까지 수직 계열 체계를 구축하고, 원가 경쟁력도 한층 강화했다”고 말했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