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산업단지, 청년 몰리게 체육관·공원 짓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앞으로 오래된 산업단지를 리모델링할 땐 공원을 의무적으로 조성해야 한다. 가동이 중단된 공장과 부지를 공공기관이 매입한 뒤 저렴한 임대료로 재임대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3·15 일자리 대책 후속조치 나와 #공공기관이 부지 사들여 리모델링 #창업자에 업무공간 싼값 재임대 #지식산업 유치해 취업 늘리기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의 ‘청년 친화형 산업단지 추진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지난 15일 정부가 발표한 청년 일자리 대책의 후속 조치 성격이다. 2016년 기준 산업단지는 전체 제조업 고용의 49.2%를 차지한다. 그러나 청년이 선호하는 정보기술(IT)·지식산업 등 신산업 비중이 작고, 착공한 지 30년이 지난 노후 산단이 늘면서 근로 환경이 나빠지고 있다.

도시에서 멀고, 낙후된 이미지인 산업단지를 확 바꿔 청년이 일하고 싶은 공간으로 바꾼다는 게 이번 대책의 핵심이다. 우선 산단 내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 공장)를 크게 늘린다. 주요 산단 내 지원시설 중 지식산업센터의 비중을 최대 50%로 확대하는 내용이다. 지금은 20% 정도다. 지식산업센터는 저렴한 임대료(월 평균 30만원) 때문에 청년 창업자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그래서 입주 경쟁이 치열하다. 서울디지털산단 내 창업자 임대 공간인 ‘G밸리테크플랫폼’만 해도 입주 경쟁률이 6대 1에 달한다. 공급을 늘려 활발한 창업을 유도하고, 임대료 부담도 덜어주겠다는 취지다.

단지 내 주거용 오피스텔 입주를 허용하는 등 규제도 완화한다. 휴·폐업 상태인 공장과 부지는 각 산단 관리기관이 매입한 뒤 수요에 맞게 리모델링하고, 스타트업에 다시 임대할 계획이다. 현재 국가 산단 내 휴·폐업 공장 면적은 119만㎡로 3년 전의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산업단지 내에 대학캠퍼스와 기업연구소를 설치하는 산학융합지구도 확대한다. 지금은 7곳뿐이지만 2022년까지 15개로 늘릴 계획이다. 서가람 산업부 입지총괄과장은 “‘인력양성-연구개발(R&D)-고용’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기업이 원하는 젊은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한 스마트공장을 거점 국가 산단에 집중적으로 보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에 따라 현재 2550개인 스마트공장은 2022년 1만3000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정주 환경 개선 작업도 속도를 붙이기로 했다. 우선 PC방·노래방 등 청년이 선호하는 각종 편의시설의 입주를 허용한다. 취미생활을 하려면 가까운 시내로 나가야 했던 불편을 덜게 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산단 5곳엔 내년까지 근로자를 위한 개방형 체육관을 짓는다. 울산 미포 등 11개 산단 근로자에겐 기숙사비를 지원하고, 인근 배후도시에 기숙사형 오피스텔도 짓기로 했다. 서 과장은 “이번 대책을 통해 2조4000억원 이상의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 2022년까지 청년 일자리 2만2000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