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금융] 보험료 부담 줄이고 환급률 높여… 합리적 소비 원하는 2030세대에 적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교보생명이 최근 출시한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은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보장을 강화한 신개념의 종신보험이다. 특히 종신보험 가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20~30대의 보험료 할인 폭을 확대해 합리적인 소비를 원하는 젊은 세대의 기대심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교보생명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은 종신보험에 가입하고 싶어도 비싼 보험료 때문에 가입을 망설였던 젊은 고객의 니즈를 반영해 개발한 상품이다. 일정 기간해지 환급금을 줄인 대신 보험료를 대폭 낮춘 저해지 환급형 종신보험으로, 경제활동기에는 저렴한 보험료로 사망을 보장하고 은퇴기에는 생활자금 전환을 통해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은 고객이 은퇴 시점을 정하면 해당 시점 10년 전까지는 해지 환급금을 일반상품 대비 30%만 적립한다. 은퇴시점은 가입자가 55·60·65세 중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해지 환급금이 매년 7%씩 10년간 단계적으로 늘어나 은퇴 시점에는 일반 상품과 비슷해진다.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 은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보장을 강화한 신개념의 종신보험으로 20~30대의 보험료 할인 폭을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사진 교보생명]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 은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보장을 강화한 신개념의 종신보험으로 20~30대의 보험료 할인 폭을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사진 교보생명]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은 해지 환급금을 줄인 대신 보험료는 크게 내렸다. 20~30대 고객이 이 보험에 가입할 경우 기존 종신보험보다 20~30%가량 보험료가 내려간다. 은퇴 시점까지 보험을 꾸준하게 유지했다면 그동안 쌓인 적립금의 3%를 장기유지 보너스로 추가 적립해준다. 이렇게 쌓인 적립금은 노후준비가 필요한 은퇴 이후 생활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사망보험금에서 최소 장례비 수준(10%)만 유지하고 나머지를 최대 20년 동안 생활자금으로 전환해 받을 수 있다. 가입자의 생활환경에 따라 중도에 생활자금 전환 취소나 변경도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교보생명 노중필 상품개발팀장은 “장기 불황 속에서 엄격한 소비를 원하는 고객의 마음을 얻기 위해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을 개발했다”며 “보험가입 여력이 부족한 젊은 층에 가성비는 물론이고 가격대비 심리적 만족까지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무)교보스마트플랜종신보험은 만 15세부터 최대 50세까지 가입할 수 있고 추가납입과 중도인출이 가능하다. 주계약 1억원 이상부터 최고 3%까지 보험료 할인 혜택을 부여하고, 고객의 건강관리를 도와주는 헬스케어 서비스도 제공한다.

송덕순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