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대북 인도지원 원했지만 미·일·영 강력 반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본 산케이 “강 장관, 밴쿠버 회의서 강한 의욕 보였지만 공동성명엔 포함 안돼"

강경화 외교장관이 지난 16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한반도 안보 및 안정에 관한 밴쿠버 외교장관 회의’에서 대북 인도지원 재개를 언급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다.

산케이신문,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 인용 보도 #"미·영·일 외교장관 '시기상조'라며 강력히 반대" #"결국 공동의장 성명에 관련 문구 못 들어가"

지난 16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한반도 안보 및 안정에 관한 밴쿠버 외교장관 회의’에서 강경화 외교장관(왼쪽)이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오른쪽)의 연설을 듣고 있다. [밴쿠버 AFP=연합뉴스]

지난 16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한반도 안보 및 안정에 관한 밴쿠버 외교장관 회의’에서 강경화 외교장관(왼쪽)이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오른쪽)의 연설을 듣고 있다. [밴쿠버 AFP=연합뉴스]

산케이신문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밴쿠버 회의에서 강경화 장관이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재개에 강한 의욕을 나타냈다”며 “그러나 미국·영국·일본 외교장관이 일제히 ‘시기상조’라고 이견을 냈다”고 23일 보도했다.
이어 “그 결과 공동성명(미국·캐나다 공동의장 성명)에 대북 인도지원과 관련한 문구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9월 유니세프 등 국제기구를 통한 800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지원을 결정한 바 있다.
그러나 대북 압박을 강조하는 미국 등의 반대로 실행에는 옮기지 못하는 상황이다.
신문에 따르면 강 장관은 한국의 대북 인도지원 방침을 설명한 뒤, “지원을 실시하기 위한 적절한 타이밍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러나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보리스 존슨 영국 외교장관, 고노 다로(河野太郎) 일본 외무상 등은 대북 제재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강력히 반대했다고 한다.
산케이는 “(회의에 참석한 20개국 외교장관들 중) 다수가 이처럼 반대 의견에 동의했다”면서 “(강 장관의 의견에) 찬성의 뜻을 나타내고 대북 인도지원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장관들도 있었다”고 전했다.

남북은 1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개최한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여를 위한 차관급 실무회담에서 평창 올림픽 개회식에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 입장하는 등의 11개항의 공동보도문을 채택했다. 사진은 2006년 열린 이탈리아 토리노 동계올림픽 개회식 때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입장하는 모습. [연합뉴스]

남북은 1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개최한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여를 위한 차관급 실무회담에서 평창 올림픽 개회식에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 입장하는 등의 11개항의 공동보도문을 채택했다. 사진은 2006년 열린 이탈리아 토리노 동계올림픽 개회식 때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입장하는 모습. [연합뉴스]

신문에 따르면 강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한 남북대화가 북핵 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도 나타냈다.
그러나 고노 외상 등은 “(남북화해 분위기가) 북한 핵·미사일 개발을 위한 시간 벌기가 될 수도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대북 대화를 중시하는 공동의장국 캐나다 주도로 공동성명에 “외교적인 해결을 위한 조건 정비를 지원하는 시민사회단체나 비정부기구(NGO)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문구는 포함됐다.
일각에선 밴쿠버 회의에서 드러난 한·미·일 3국의 대북 해법 시각차가 평창올림픽 이후에도 좁혀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밴쿠버 회의는 기본적으로 비공개이며 논의된 내용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다만 강 장관은 대북 인도적 지원과 관련된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결정된 대북 인도적 지원의 실제 지원 시기와 규모 등에 대해서는 남북 간의 상황 등 전반적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 나간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입장”이라면서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