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北 평창 참가, 북·미 비핵화 대화로 이어질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미 정상은 10일 밤 10시부터 30분간 통화하고 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 대한 논의를 했다. 양 정상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가 향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청와대 제공]

한미 정상은 10일 밤 10시부터 30분간 통화하고 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 대한 논의를 했다. 양 정상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가 향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전날 이뤄진 남북 고위급 회담에 대해 설명하고 양국 간 공조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이날 통화는 30분간 이뤄졌다.

문 대통령-트럼프 30분 통화 #“남북대화, 평창올림픽 넘어 #북·미 대화로 이어질 수도” #트럼프 “남북대화 기간 동안 #어떤 군사적 행동도 없을 것”

양 정상은 통화에서 남북 고위급 대화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넘어 자연스럽게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미ㆍ북 간 대화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남북 간 회담 진행상황을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이 북한에 대한 군사옵션을 검토한다는 보도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이 최근 내가 북한에 대한 군사적 공격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으나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남북 간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어떤 군사적 행동도 없을 것임을 분명하게 알려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코피 터뜨리기’(bloody nose) 또는 ‘정강이 차기’(kick in the shin)와 같은 이름이 붙은 제한적인 대북 선제공격 옵션을 마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적절한 시점과 상황하에서 미국은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를 원할 경우 (대화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남북 고위급 회담의 성과를 설명한 뒤 “고위급 회담의 성과가 트럼프 대통령의 확고한 원칙과 협력 덕분이었다”고 평가했다. 윤 수석은 “양 정상은 대화의 성공을 위해 확고한 입장을 견지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평창올림픽 기간 한국을 방문할 미국 측 고위 대표단장으로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보내겠다”고 밝혔다. 펜스 부통령이 방한할 경우 북한이 파견하기로 한 고위급 대표단과의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북한은 아직 대표단을 이끌 인물을 밝히지 않고 있으나, 권력서열 2위인 최용해 노동당 부위원장의 파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때 황병서ㆍ최용해ㆍ김양건 등 ‘실세 3인방’을 깜짝 파견한 적이 있다.

이날 통화는 문 대통령의 취임 후 트럼프 대통령과의 아홉 번째다.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의해 이뤄진 통화에서 “9일 남북대화 이후에 재차 통화를 하자”는 약속을 했고 그 합의에 따라 통화가 이뤄졌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통화에서 평창올림픽 기간 한ㆍ미 연합훈련을 연기하는 데 합의하며 “미국은 100% 문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 선언 이후 남북 고위급 회담 일정이 속전속결로 진행돼왔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