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트럼프 방한 … 한·미는 북핵 해결에 집중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늘 입국해 1박2일의 짧으면서 중요한 국빈 방문을 시작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한은 절정으로 치닫는 북한의 핵 위협을 푸는 데 결정적 전기가 돼야 한다. 특히 양국 정상은 물샐틈없는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하는 한편 효과적으로 북한을 압박하기 위해 깊숙한 논의를 해야 한다. 트럼프는 방일 중이던 어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모든 수단을 동원해 북한에 대한 압력을 최대한도로 높여 가기로 했다”며 결의를 다진 바 있다.

하지만 돌아가는 국내외 상황은 그리 녹록지 않다. 무엇보다 트럼프가 북핵 이상으로 통상 문제를 따지려 들 가능성이 높다. 지난 6월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 때에도 그는 한국과의 통상에서 비롯된 무역적자를 집중 성토했었다.

미국의 눈에는 소극적으로 비칠 한국 측의 대북 압박 정책도 불협화음을 낳을 수 있다. 대북 강경 조치를 요구하는 국제 여론에 못 이겼는지 정부는 6일 새벽 관보에 싣는 형식으로 독자제재를 발표하긴 했다. 하지만 제재 대상이 최소한이어서 상징적 차원에 그쳤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일 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중 간 균형외교를 언급한 것도 찜찜하다. 두 강대국 사이에 낀 우리로서는 마땅히 생각해 볼 담론이긴 하다. 하지만 트럼프 방한을 코앞에 둔 처지에서 대놓고 입에 올릴 얘기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우리는 어떻게든 트럼프의 방한이 북핵 문제 해결의 견인차가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는 일본에서 지극한 아베 총리의 환대를 받고 바로 한국에 도착한다. 문 대통령이 아베처럼 할 수 없더라도 자기 방식으로 신뢰를 쌓는 동시에 대화를 이끌길 바란다. 문 대통령의 장점인 진정성이 느껴지는 진지한 태도로 한·미 정상 간 대화가 북핵 문제 해결에 집중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