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열흘 이상 무단결석한 초중고생 1만7000명

중앙일보

입력

올 3월부터 9월까지 학교에 열흘 이상 무단 결석한 학생이 1만7000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8명은 소재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 [중앙포토]

올 3월부터 9월까지 학교에 열흘 이상 무단 결석한 학생이 1만7000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8명은 소재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 [중앙포토]

올 상반기 학교에 열흘 이상 무단결석한 초·중·고생이 1만7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결석 중인 학생을 위해 마련된 보호 매뉴얼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 국감자료 #장기·무단결석 중인 학생 1만6928명 #211명 경찰 수사 중, 8명 소재 파악도 안돼 #피투성이 여중생 사건도 무단결석 중 일어나 #김병욱 의원 “학생 소재 소상히 파악하고 #무단결석 학생 보호할 종합대책 마련해야”

2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김병욱(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교육청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 1학기(3월2일~9월1일)에 열흘 이상 무단결석한 학생은 1만6928명이었다. 이중 초등학생이 7351명으로 가장 많고 중학생 6551명, 고등학생 3026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현재(9월1일 기준) 학교로 복귀한 학생은 3868명에 불과했다. 교육당국은 무단결석 학생 중 초등생과 중학생 211명에 대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으나 이중 8명은 소재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장기간 학교에 나오지 않는 학생들의 안전을 파악하고 학교로 데려오기 위해 마련한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례로 최근 피투성이가 된 채 무릎을 꿇고 있는 사진으로 공분을 샀던 ‘피투성이 여중생’ 사건의 피해자 역시 올해 60일 가량 결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교육청의 자료에 따르면 피해 여중생이 8월24일부터 사건이 발생한 9월1일까지 7일간 연속으로 학교에 나오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 피해자(왼쪽)와 CCTV에 포착된 폭행 장면. [연합뉴스]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 피해자(왼쪽)와 CCTV에 포착된 폭행 장면. [연합뉴스]

교육부의 ‘미취학·무단결석 관리 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학생이 결석하면 당일이나 이튿날 담임교사가 전화로 결석 사유를 확인해야 한다. 결석 사흘째부터는 교사가 학생과 직접 통화해 소재를 확인하는 한편 가정방문도 해야 한다.
6일 이상 연속 결석할 경우 학교장이 학생 보호자에게 면담을 요청하고, 면담 결과는 교육감에게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부산교육청이 해당 사건을 처음 인지한 것은 SNS상에 피해자의 사진이 떠돌아다니기 시작한 9월 3일 오후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만약 사건이 발생하기 전 무단결석 중이던 피해학생에 대해 학교·교육청이 미리 소재를 파악하는 등 보호에 나섰다면 피해를 막을 수 있지 않았겠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병욱 의원은 “학교와 교육청은 아이들을 지키고 보호해야하는 기관으로서, 결석 중인 아이들의 소재를 소상히 파악하고 이 학생들이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