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ㆍ일 3국 국방장관, "북핵 완전 폐기 위해 외교적 노력 지원"

중앙일보

입력

23일 필리핀 클락에서 열린 아세안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에서 송영무 국방부 장관(왼쪽부터),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오노데라 이쓰노리 일본 방위상이 한ㆍ미ㆍ일 3국 국방장관 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 국방부]

23일 필리핀 클락에서 열린 아세안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에서 송영무 국방부 장관(왼쪽부터),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오노데라 이쓰노리 일본 방위상이 한ㆍ미ㆍ일 3국 국방장관 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 국방부]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23일 필리핀 클락에서 열린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에서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 오노데라 이쓰노리(小野寺五典) 일본 방위상과 한·미·일 3국 국방장관 회담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북한 문제, 지역 안보상황, 안보협력 발전 등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3국 장관은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 행위를 강력히 규탄했다. 특히 최근 두 차례 일본 상공을 통과한 미사일 발사와 지난달 3일 6차 핵실험이 3국은 물론 전 세계 국가들에게도 전례 없이 중대한 위협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

3국 장관은 또 유엔안보리 결의 제2375호를 포함한, 관련 안보리 결의의 신속하고도 완전한 이행이 보장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북한이 불법적인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식(CVID)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이를 위해 3국 장관은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또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프로그램 억제와 관련 운송수단 차단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계속 지원하기로 했다.

한·미·일 3국은 지금까지의 정보 공유와 연합 훈련을 높이 평가하면서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미사일 경보훈련과 대잠전 훈련을 계속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3국 장관은 해양 안보의 중요성을 포함해 역내 안보현안에 대해 협의했다. 보편적인 국제법 원칙에 따라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하고 분쟁이 평화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동·남중국해에서 영유권 분쟁의 중심에 놓인 중국에 대한 메시지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는 아세안 10개국과 한국·미국·중국·일본·러시아·호주·뉴질랜드·인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8개국 국방장관이 참석하는 안보회의체다. 2010년 첫 회의 후 2∼3년마다 한 번씩 열린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