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 진상조사위 내일 출범…"교육적폐 청산…사회적 갈등 봉합 기대"

중앙일보

입력

교육부가 논란이 됐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과정에 대한 진상 규명에 나선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촛불혁명의 정신을 살리고 교육부문의 적폐를 청산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적 갈등이 봉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 프리랜서 김성태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 프리랜서 김성태

교육부는 25일 오후 2시 30분, 서울 중구의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출범식과 제1차 정기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진상조사위가 본격 가동되는 것이다.

진상조사위는 이기봉 교육부 기획조정실장 등 정부(당연직) 위원 2명과 학계, 법조계, 언론계, 시민단체 인사 등 민간(위촉직)위원 13명 등 총 15명(당연직 위원 공석 1명 포함)으로 구성됐다. 출범식에선 위원들에 대한 위촉장 수여가 진행되고, 첫 정기회의에선 위원회 운영계획과 진상조사 주요 과제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지상조사위는 이날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약 6개월간 운영될 계획이다. 또, 월 1회 정기위원회를 열고, 정책 결정·집행시 절차적·실질적 위법, 관련 예산 편성·집행 등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국정교과서의 각종 문제점을 진단할 예정이다. 진상조사위는 조사를 통해 사실관계 파악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향후 재발방지 대책 관련 연구와 제안을 할 예정이다. 또 이러한 결과물을 담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백서(가칭)'를 발간할 방침이다.

김 부총리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촛불혁명의 정신을 살리고 교육부문의 적폐를 청산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적 갈등이 봉합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 공정하고 중립적인 조사를 통해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진상이 규명됨으로써 교육 민주주의 회복의 첫 발걸음을 내딛을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