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의 눈물 멈추자'…정부‧양계협회, 안전한 계란 위해 제도적 개선 나서

중앙일보

입력

“우리 계란은 정부기관으로부터 분명히 적합 판정을 받았는데 ‘살충제 계란’이라니요. 너무 억울합니다.”

경기도 이천에서 계란생산 농장을 운영하는 이모씨가 지난 8월 15일 이후 ‘고통과 혼돈’의 시간을 보내며 던진 말이다. 이씨 농장의 계란은 지난 15일 1차로 진행한 농산물품질관리원 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았지만, 2차 검역본부 검사에서 ‘적합’판정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적합 판정을 받았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살충제 계란’으로 낙인 찍혔다. 1차 검사에서 ‘살충제 계란 농장’이라고 낙인 찍힌 이유만으로 유통 상인도 가져가지 않기 때문에 유통망도 없고 판로도 없는 상황.

살충제 계란 파동에 온 국민의 영양식품 계란은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했고, 이에 따른 양계 농가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경기도권 양계 농가들은 피해액만 60억원이 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정부는 피해 농가 구제를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계란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후속조치를 취하고 있다.

전국 1239개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조사 및 420개 농가 대상 추가 보완검사를 통해 52개의 부적합 농장에서 유통된 물량과 이를 원료로 가공한 제품 전략을 압류·폐기조치 했다. 또한 8월 29일부터 재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새로운 난각코드를 부여해 출하시키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이같은 노력에도 양계농가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이은 폭염 폐사 후유증이 채 가시기도 전에 또다시 살충제 계란이 문제가 되면서 설상가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양계 농가의 시련은 올 초부터 시작됐다. 연초부터 사상 최악의 AI로 전국이 들썩였다. 당시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AI로 살처분 된 가금류는 3718만 마리이다. 닭이 3092만 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닭의  19.9%가 매몰 처리됐다.

농장주들이 마음을 달랠 겨를도 없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폐사가 이어졌다. 낮 최고기온이 35℃를 웃도는 폭염 속에 무더위를 견디지 못한 가축이 줄줄이 폐사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은 모두 277만 80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닭이 269만 마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AI로 극심한 피해를 겪었던 닭이 연이어 폭염의 주 희생양이 된 것이다.

망연자실할 틈도 없이 이번에는 살충제 달걀이 양계농장을 엄습했다. 유럽발 살충제 계란 사태가 국내에서도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아직까지도 온 나라가 불안에 떨고 있는 형국이다.

산란계 농장의 입장에선 하루하루 시간을 보내는 것 자체가 지옥이다. 매일 생산되는 계란이 폐기되는 숫자만큼 손실은 늘어나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계란생산 농가의 눈물이 마를 날이 없다.

계란만큼 값싸고 효율적인 식품이 없다. 과거 계란이 귀한시절과 달리 항상 냉장고에 차고 넘쳐나는 게 계란 아니었던가. 우리 밥상에서 삼시세끼 빠지지 않은 가장 대표적인 반찬이기도 하다.

영양성분 또한 풍부해 계란만큼 가성비 높은 식품은 찾아보기 힘들다. 계란노른자에는 레시틴, 리보플라빈 등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고 이것이 인지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검사 결과도 있다.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는 계란을 꼭 먹어야 하는 식품으로 통한다.

살충제 계란에 대한 불안감은 당연히 해소되어야 하지만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생산되어 유통된 계란까지 기피하면서 양계 농가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선태 경상대 축산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건강한 계란을 만드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지만 철저한 원칙을 지켜가며 계란을 생산하고 있는 96% 이상의 농가까지 피해를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대한양계협회와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는 “농약성분관리 및 사용기준 개선, 계란의 잔류물질검사 주기 확대, 각종 인증 제도의 소비자 중심 개선 등을 통해 안전한 계란 생산을 위한 제도 개선에 앞장 서겠다”고 밝혔다. 이어 “또다시 국민들의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 없도록 농가와 업계 종사자 안전교육, 교육 및 안전시스템 구축, 축사 환경개선 등 계란 안전에 필요한 모든 조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