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있으면 뇌졸중 발병 위험 일반인의 4배

중앙일보

입력

심부전 환자는 뇌졸중 발병 위험이 높으므로 호흡곤란과 피로감 같은 증상이 있으면 노화때문이라 여기지 말고 제때 치료를 받아야 한다. [중앙포토]

심부전 환자는 뇌졸중 발병 위험이 높으므로 호흡곤란과 피로감 같은 증상이 있으면 노화때문이라 여기지 말고 제때 치료를 받아야 한다. [중앙포토]

심장 기능이 떨어져 신체에 혈액 공급이 충분히 안 되는 심부전이 있으면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장 기능 떨어져 혈액 공급 부족한 심부전 #고혈압·당뇨 있는 심부전 환자 뇌졸중 더 위험 #분당서울대병원, ‘심부전과 뇌졸중 상관관계' #공단 데이터 9만 7000여명 10년 추적 결과 #호흡곤란·부종·피로감은 심부전 증상 #노화 탓 여기지 말고 제때 치료받아야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강시혁·최동주 교수팀은 "심부전이 있는 환자는 뇌졸중이 발병할 위험이 일반인보다 4배 높았다"며 "심부전 환자 중에서도 고령·고혈압·당뇨·심방세동 환자와 뇌졸중 과거력 있는 경우는 뇌졸중 고위험군에 속했다"고 6일 발표했다. 국내 심부전 환자의 뇌졸중 위험을 분석한 최초 연구다.

연구팀은 약 9만 7000명의 10년간(2003~2013년)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추적 조사했다. 연구 결과 심부전 환자에게 뇌졸중이 발병할 위험은 2.2%로 일반인(0.6%)의 4배가량 높았다.

같은 심부전 환자 중에서도 고령, 고혈압·당뇨, 뇌졸중 과거력이 있으면 뇌졸중 위험이 더 커졌다. 65세 이상의 심부전 환자는 뇌졸중 발병 위험이 2배였고, 75세 이상이면 3배까지 커졌다. 고혈압이 있는 심부전 환자는 뇌졸중 위험이 1.41배, 당뇨가 있으면 1.36배, 뇌졸중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1.58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심장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맥박이 불규칙적으로 뛰는 ‘심방세동’이 있는 심부전 환자도 뇌졸중 발병 위험이 높았다.

심부전은 심장질환의 ‘종착역’이라고 불린다. 심근경색·협심증 등 각종 심장질환때문에 심장 손상이 반복되면 신체에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인 심부전으로 악화하기 때문이다.

심부전이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렵다. 심부전 환자의 5년 내 사망률은 50%에 달한다. 하지만 질환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심부전에 대한 인지도는 낮다. 대표적 증상인 호흡곤란·부종·피로감을 노화의 과정이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관련기사

강시혁 교수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2040년에는 국내 심부전 환자가 17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심부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 뇌졸중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는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최신호에 실렸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