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센터 "서울 가로수…'발암가능물질' 포함된 농약 사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시내 가로수(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연합뉴스]

서울시내 가로수(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연합뉴스]

서울의 일부 자치구에서 가로수에 '발암 가능 물질'이 포함된 농약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1일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정보공개청구를 해 확보한 지난해 자치구별 농약 사용 실태 분석결과 강동구, 성동구, 성북구 등 3개 구에서 발암 가능 물질이 포함된 농약이 사용됐다고 전했다.

정보공개센터에 따르면 이들 지역에서 사용된 농약에는 미국환경보호청(EPA)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한 '티아클로프리드'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발암 가능 물질'은 동물실험결과에서 암을 일으키는 것이 증명돼 사람에게도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농약이 살포된 곳은 주로 공원과 산책로의 소나무, 참나무 등이며 액체상태로 고압 살포됐다.

이밖에 강동구, 서초구, 영등포구, 동작구 등 4개 구에서는 '발암 의심 물질'이 포함된 농약이 사용됐다.

강동구, 서초구에는 '뷰프로페진'이, 동작구에는 '아세페이트', 광진구에는 '뷰프로페진'과 '트리아디메폰'이 함유된 농약이 사용됐다.

'발암 의심 물질'은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가능성을 놓고 아직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물질이다.
아울러 정보공개센터는 유럽연합(EU)에서 사용을 금지한 '어드마이어' 살충제와 인간에게 독성은 낮지만, 수생동물에 장애를 주는 '페니트로티온'이 포함된 농약이 서울 시내 공원 곳곳에 사용됐다고 밝혔다.

어드마이어 살충제는 '꿀벌 폐사'의 주범으로 밝혀진 바 있다.

정진임 정보공개센터 사무국장은 "발암 가능물질이 없는 농약이나 친환경 농약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며 "농약의 유무해를 판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민에게 어떤 농약이 사용됐는지와 어떤 농약이 더 안전한지를 알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